정부는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수준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할 계획이다. 사진=식품저널DB
정부는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수준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할 계획이다. 사진=식품저널DB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수준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오송앤세종컨퍼런스에서 K-농정협의체 식량소분과 제3차 회의를 개최했다.

K-농정협의체는 농업ㆍ농촌이 당면한 현안과 미래 과제 해결, 국민주권정부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 농업인, 업계, 소비자, 전문가 등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 특히 식량소분과는 식량안보 제고, 논타작물 재배 확대 등 식량 분야 핵심 이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농식품부가 추진하는 ‘식량자급 목표 재설정을 위한 식량안보지표 개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와 함께 열렸다. 

해당 연구용역은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수준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식량안보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를 병행해 추진된다.

식량소분과 위원들은 한국의 농업 특성과 대내외적인 여건을 바탕으로 식량안보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표를 개발하고, 식량안보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해야만 관련 정책 추진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연구 필요성에 공감했다. 

식량소분과 대표인 김종인 교수는 “연구용역을 신속히 추진해 연구결과의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식량안보 대응 체계를 개편하고, 식량자급 목표를 재설정하는 등 후속 연구도 적극 추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농식품부 변상문 식량정책관은 “소분과 위원들이 제안해 주신 귀중한 의견을 잘 검토하고 연구용역을 차질없이 추진, 식량안보 정책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