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제3차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

 
▲ 제3차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가 13일 aT센터 중회의실에서 열렸다.

13일 aT센터 중회의실에서 열린 제3차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토론자들이 발표한 내용을 요약ㆍ소개한다.

한민수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 정책실장 = 제2차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을 되짚어 보면 식품산업 매출을 올해 245조원까지 늘리자고 했는데, 실제로는 192조원에 그쳤고, 농식품 수출도 200억 달러까지 하겠다고 했는데 100달러 정도 수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3차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에는 전체 식품산업 매출 목표를 304조원, 이중 제조업은 158조원으로 잡았는데, 목표 금액을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올해 성과들과 앞으로 추세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조정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1인 가구도 늘어나고 있고, 소비패턴 자체가 예전과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수동 중소기업식품발전협회장 = 농식품을 위한 중소기업법을 만들어 줬으면 한다. ‘프로슈머’는 생산자가 곧 소비자고, 생산집단이 곧 소비집단을 말한다. 또 하나는 ‘공유경제’인데, 차량공유서비스인 우버택시가 한 예이다. 앞으로 세계는 과학과 지식으로 장착된 공유경제 속에 프로슈머 산업의 발달이 예측된다. 미래 산업구조는 IT산업에 도움을 받은 농식품산업이 중심이 될 것이다. 이러한 산업경제체계는 중소기업만이 가능하다. 현재 중소기업부나 기타 기관에서도 식품에 관한 지원이 가장 약하고, 식품산업진흥법에도 중소기업 지원 조항이 없다. 이제는 중소기업 식품산업 진흥법이나 중소기업 농식품 상생협력법 어떤 것이든 미래를 위한 농식품 중소기업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조윤미 C&I 소비자연구소 대표 = 이번 3차 계획에서 미래 트렌드 분석을 보강해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추가돼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 40%가 1인 가구다. 과거 1인 가구는 자취하는 사람으로 수준이 낮았는데, 지금 1인 가구는 소비 질을 굉장히 중요시여기고 가치 지향적이며 소비 행태가 명확하고 소비를 향유할 수 있는 경제적 수준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전통적 식품 먹거리에 대해 지루함을 느끼고 새로운 식품을 계속 찾고, 해외 여행 경험 많아지다 보니 국내에서 전통적으로 먹지 않은 새로운 먹거리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3차 계획 수립 시 식품산업의 다양성을 어떻게 증대할 것이냐, 굉장히 많이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학수 한국식품산업협회 전무 = 식품 내수는 정체 상태에 있기 때문에 수출로 타계할 수 밖에 없다. 내수는 식품기업들이 독자적으로 활동할 수 있으나, 수출만큼은 기업 입장에서 할 수 없다. 정부와 수출 유관기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 줘야 한다. 특히 비관세 장벽을 해소해 줘야 수출이 가능하고, 해외 타깃 시장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해 정보를 전파해야 한다. 또, 글로벌 경쟁력을 스스로 제약하는 국내법과 제도, 규제, 세제 등이 많이 있다. 식품산업이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출이 좌우하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3차 기본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부탁드린다.     

김성훈 충남대 교수 = 제3차 기본계획 중 유망기업 선제적 육성 부분에서 최근 뜨고 있는 두 가지가 빠져 있다. 하나는 농식품부에서도 인지하고 육성하고 있는 식용곤충산업이다. 비즈니스 R&D 차원에서 식용곤충산업을 육성시켜야 한다. 또 한 가지는 식물성 고기다. 푸드테크 부분에서도 몇 가지 식품을 찝어 집중적으로 육성시켜야 한다. 이밖에도 최근 화두인 4차 산업혁명 하면 3D프린터, 사물인터넷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빅데이터가 언급돼야 한다고 본다. 식품산업체들도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냐, 소비자들 어떻게 움직이냐 등을 빅데이터 분석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농식품부에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박성우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과장 = 이번 3차 계획에는 R&D 투자 관련 고민도 반영했다. 농식품부가 국산 농산물을 사용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고,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지역에서 식품기업과 생산자단체들이 자율적으로 연계하면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을 작년부터 만들어 실시하고 있다. 내년부터 식품 소기업들이 국내 농산물을 외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보증보험을 도입하고, 보증보험료를 중심으로 하는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 국민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생산자단체(가공식품 생산자단체)와 소비자들이 연계해 소통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할 계획이다. 오늘 논의된 내용들도 포함해 좀 더 보완해서 3차 기본계획을 충실히 수립하겠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