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ㆍ육류 가격은 지속 상승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5월 곡물 가격지수는 173.4포인트로, 4월(169.7포인트)보다 2.2% 상승했다. 사진=식품저널DB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5월 곡물 가격지수는 173.4포인트로, 4월(169.7포인트)보다 2.2% 상승했다. 사진=식품저널DB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 158.3포인트보다 0.6% 하락한 157.4포인트로 나타났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식량가격지수는 3월에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개월 연속 하락했으나, 곡물과 육류 가격지수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유지류, 유제품, 설탕 가격지수는 하락했다.

5월 곡물 가격지수는 4월(169.7포인트)보다 2.2% 상승한 173.4포인트로, 밀은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 주요국의 작황 부진에 더해 인도의 수출제한 조치가 발표되면서 가격 상승세를 유지했다. 옥수수는 미국의 작황 일부 개선, 남미의 수확기 도래 등에 따라 가격이 내렸으나, 쌀 가격은 전체적으로 올랐다.

유지류는 전월(237.5포인트)보다 3.5% 하락한 229.3포인트를 기록했는데, 팜유는 인도네시아의 수출제한 조치 해제 등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했으나, 수출 전망이 불확실해 하락 폭은 제한적이었다. 해바라기씨유는 우크라이나의 물류 정체로 재고가 축적되며 가격이 하락했고 대두유, 유채씨유도 최근 가격 상승으로 수입 수요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육류는 전월(121.4포인트)보다 0.5% 상승한 122.0포인트를 기록했다. 가금육은 우크라이나의 공급망 장애 지속,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유럽과 중동의 수요 증가로 가격이 올랐으나, 돼지고기는 서유럽의 수출 여력 확대와 유럽연합(EU)의 민간재고 방출 예상에 따라 가격이 내렸다. 소고기는 전반적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브라질과 오세아니아의 공급량이 증가해 가격 변동이 적었다.

유제품은 전월(146.7포인트)보다 3.5% 하락한 141.6포인트를 기록했는데, 분유는 전 세계적 공급 부족에도 불구하고 중국 봉쇄가 지속되면서 가격이 내렸다. 버터는 오세아니아의 공급 증가, 유럽 내 판매 저조 등에 따라 가격이 하락했다. 치즈는 전반적 수입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름 휴가를 앞두고 소매 판매와 외식업 수요가 증가해 가격 하락 폭이 작았다.

설탕의 경우 전월(121.5포인트)보다 1.1% 하락한 120.3포인트를 기록했다. 인도의 풍작에 따른 공급량 확대 전망, 브라질 헤알화 약세와 에탄올 가격 하락 등이 설탕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이었다. 다만, 세계 최대 설탕 수출국인 브라질의 생산량이 불확실해 하락 폭은 크지 않았다.

FAO는 2022/23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억8450만톤으로 2021/22년도보다 0.6%(1630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곡물 소비량은 27억8820만톤으로 2021/22년도보다 0.1%(340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억4660만톤으로 2021/22년도보다 0.4%(350만톤)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 일일 단위로 주요 곡물 재고ㆍ시장 동향 점검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 TF’, ‘식량공급망 위기대응반’ 운영…중장기 대응과제 검토

농림축산식품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가격 상승, 수급 불안 가능성에 대비, 관련 업계와 일일 단위로 주요 곡물 재고와 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

국내 제분ㆍ사료ㆍ전분당ㆍ대두 가공 등 관련 업계는 8~9월 사용물량까지 재고를 보유하고 있으며(계약물량 포함 시 10~12월), 추가 소요물량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업계는 원료 확보 등 단기적 수급은 큰 문제가 없으나, 주요 곡물 수입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물가 부담 등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국제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영향 최소화를 위해 정책자금 금리 인하, 사료대체원료 할당물량 증량 등을 조치했다. 또, 국내 소비자ㆍ자영업자ㆍ축산농가 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추가 대책을 추경에 반영했으며, 최근 가격 상승 압력이 높은 농식품 및 사료원료에 0%의 할당관세 적용 및 할당물량 증량과 농산물 의제매입세액 공제 한도 상향(’23년 말까지 10%p 상향) 등 조치도 확정ㆍ추진 중이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단기 조치와 함께 안정적인 식량 공급체계를 갖추기 위한 중장기 대책 마련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농식품부 내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 전담반(TF)’과 ‘식량공급망 위기대응반’을 운영해 중장기 대응과제를 검토하고 전문가, 관련 업계, 농업계와도 긴밀히 소통하면서 세부과제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식량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는 만큼 농식품부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시장상황을 점검하고, 관계부처와 협력해 재정ㆍ세제 지원 등 추가적 조치도 적극 강구할 계획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