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부처, 학계, 소비자, 생산자, 수요자, 유관기관 등 참여
전문가 자문단, 제도 개선 실무 추진단 운영
제도 개선 최종안 연말까지 마련 계획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낙농산업 발전 위원회’가 25일 첫 회의를 갖는다. 사진=식품저널DB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낙농산업 발전 위원회’가 25일 첫 회의를 갖는다. 사진=식품저널DB

농림축산식품부는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낙농산업 발전 위원회’(위원장 박영범 차관) 1차 회의를 25일 오후 2시 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낙농산업 현황, 제도 개선 필요성 및 위원회 운영계획 등을 설명하고, 의견 수렴 시간을 갖는다.

인구 감소, 유제품 소비패턴 변화, 수입개방 확대 등 낙농산업을 둘러싼 여건이 변하면서, 지난 20년간 낙농산업 전반에 큰 변화가 있었다.

유제품 소비가 2001년 304만6000톤에서 2020년 447만톤으로 46.7% 증가하면서, 수입이 65만3000톤에서 243만4000톤으로 272.7% 증가한 반면, 국산 원유 생산량은 233만9000톤에서 208만9000톤으로 10.7% 감소해 자급률도 77.3%에서 48.1%로 29.2%p 낮아졌다.

또, 지난 20년간 국내 원유 가격(인상률 72.2%)이 유럽(19.6%), 미국(11.8%), 뉴질랜드(△4.1%) 등 주요국보다 큰 폭으로 오르면서, 유제품 소비가 증가했음에도 국내 생산량은 위축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와 함께 낙농산업은 쿼터제와 생산비 연동제를 운용함으로써 혁신적인 젊은 층이 신규 진입하기가 어렵고, 원유 가격이 시장상황과 무관하게 결정돼 수요와 공급이 괴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제도 개선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년간 낙농진흥회를 통해 생산자, 수요자, 전문가, 소비자가 참여하는 소위원회를 운영하며 제도 개선을 논의해 왔으나, 생산자가 논의에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진전이 없었다.

농식품부는 “낙농진흥회를 통한 제도 개선이 어려운 것은 생산자가 반대하면 이사회 개의가 불가능해 제도 개선 논의 자체를 이어갈 수 없는 비합리적인 의사결정 구조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며, “이러한 이유로 낙농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가 주도해 생산자, 수요자, 학계, 소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참여를 유도하고 의견을 수렴해 제도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낙농산업 발전 위윈회’를 구성ㆍ운영하게 됐다”고 밝혔다.

‘낙농산업 발전 위윈회’에는 관계부처, 학계, 소비자, 생산자, 수요자,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며, ‘전문가 자문단’과 축산정책국장이 총괄하는 ‘제도 개선 실무 추진단’도 함께 운영한다.

위원회에서는 △유 가격 결정 및 거래 체계 개선 △생산비 절감 및 생산구조 전환 △정부 재정 지원 및 연구개발(R&D) 개선 △낙농진흥회 의사결정체계 개편 등을 논의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문가 연구용역도 실시해 제도 개선 최종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낙농산업 발전 위원회 위원

본위원(19)
<위원장> 박영범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부위원장> 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정부> 김태경 기획재정부 민생경제정책관,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장
<유관기관> 최희종 낙농진흥회장
<학계> 윤성식 연세대 교수, 정경수 건국대 교수, 지인배 동국대 교수
<소비자> 김천주 한국여성소비자연합회장, 원영희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장, 한국소비자원 
<생산자> 이승호 낙농육우협회장, 김태환 농협경제지주 대표, 맹광렬 전국낙농관련조합장협의회장, 이경용 당진낙협 조합장
<수요자> 이창범 한국유가공협회장, 문진섭 서울우유 조합장, 김선희 매일유업 대표이사, 이광범 남양유업 대표이사

자문위원(9)
윤성식(연세대), 정경수ㆍ김민경(건국대), 지인배(동국대), 전상곤(경상대), 서성원(충남대), 정민국(KREI), 기광석(축산과학원), 박순(낙농진흥회)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