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중대본, 농업분야 코로나19 대응ㆍ수산물 소비 촉진 논의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유통채널 확산에 대비해 농가들이 온라인 유통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농산물 온라인 직거래를 지원하고, 비대면 거래기반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2일 정세균 본부장(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중앙부처 및 17개 시ㆍ도와 함께 △코로나19 대응 국제 방역협력 총괄 태스크포스(TF) 운영계획 △농업분야 코로나19 대응 △수산물 소비ㆍ수출 동향 및 향후 계획 △생활 속 거리 두기 집단방역 기본수칙 공개 등을 논의했다.

정세균 본부장은 “우리 농수산물이 버려지는 일이 없도록 각 기관이 노력해 주고, 특히 대도시 지방자치단체가 농수산물 유통ㆍ소비 활성화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중대본은 사회적 거리 두기, 등교 연기 등으로 인해 소비 위축을 겪고 있는 친환경농산물 재배농가를 위한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판로 확보에 애로를 겪고 있는 친환경농산물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유관기관 및 지자체와 함께 공동구매 캠페인을 벌이고, 농협ㆍ생협 및 유통업체 등과 협력해 할인 판촉을 지원한다.

4월 21일 기준, 피해 농가 지원을 위해 공동구매, 할인 판촉 등을 통해 친환경농산물 총 1531톤의 대체판로를 지원했다.

또, 자가격리자에게 친환경농산물 꾸러미를 공급하기 위해 피해농가에서 생산한 친환경농산물 87.7톤을 구매했다. 1차로 자가격리자 7509명에 대한 꾸러미 공급이 완료됐으며, 2차로 4만5000명을 대상으로 공급 중이다.

계절근로자 입국 지연 등에 따라 농업인력 부족이 우려되는 가운데, 농번기를 앞두고 필요한 인력이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인력 중개 확대와 계절근로자 대체인력 확보도 중점 추진한다.
 
계절근로자 입국 지연과 농촌 봉사활동 축소로 일손 부족이 예상되는 22개 시ㆍ군에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추가로 설치하고 전담인력을 운영하는 한편, 근로자를 위한 교통비 및 숙식비 등을 제공한다.

방문동거(F-1) 외국인, 사업장 변경을 희망하는 고용허가제(E-9) 외국인 근로자 등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에게 농업분야 근로를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인력이 필요한 농가에 연결해 계절근로자 입국 지연에 따른 인력 부족 문제를 완화한다.

농식품 유관기관, 지자체 등의 농촌 일손돕기 추진과 함께, 국방부 협조 하에 사회적 거리 두기 지침을 준수하면서 군 인력의 농번기 일손돕기 참여도 확대할 예정이다.

일시적으로 경영 위기에 놓인 피해 농업인의 경영안정을 위해 농업경영회생자금(300억원), 재해대책경영자금(600억원) 등 긴급자금을 지원하고, 특별재난지역(대구ㆍ경산ㆍ청도ㆍ봉화) 농업인에게는 농축산경영자금 이자감면 및 상환연기 등을 통해 금융부담을 완화해 줄 예정이다.

이와 함께 향후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유통채널 확산에 대비해 농가들이 온라인 유통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농산물 온라인 직거래를 지원한다.

온라인 채널별 특성을 감안해 농산물 입점을 지원하고 대대적인 판촉 기획전도 개최한다. 홈쇼핑 정규 프로그램을 편성해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농업인의 온라인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해 모바일 쇼핑몰 및 콘텐츠 제작, 컨설팅 등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중대본은 수산물 소비와 수출 동향도 점검하고, 중장기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수산물 소비는 외식 수요 감소 등 영향으로 양식 수산물을 중심으로 소비가 둔화되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등 수출시장 침체로 수산물 수출액도 전년보다 8.0% 감소했다.

정부는 그동안 수산물 소비와 수출 회복을 위해 비대면 중심 소비촉진 행사와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지원을 병행하고, 우수 수산물 수출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과 무역 애로 해소 등에 집중해 왔다.

향후에도 소비심리 회복과 수출업계 지원을 지속 추진하며, 비대면 거래기반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대규모 소비 붐업 행사를 추진, 소비심리 회복을 촉진하고, 수출업계의 온라인 상담 지원 등 현지 시장 맞춤형 판로개척을 지원한다.

중장기에는 온라인 구매경험 확산 등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온라인 유통물류 시스템 확충, 온라인 무역상담 등 비대면 거래기반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