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출 시 내년 1월 시행 ‘영양성분표 개정판’ 사전 숙지해야

▲ 식약처는 25일 서울식약처에서 2019년 ‘K-푸드안전정보포럼’을 열고, 한국 식품의 해외 수출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했다.

[식품저널] 한국산 수출식품의 부적합 원인은 나라별로 크게 달라, 식품 수출 시 국가별로 부적합 원인을 더욱 세심하게 체크할 필요가 있다. 최근 3년간(2016~2018) 중국, 미국, 대만, 일본, EU 등 주요국에 수출된 한국산 식품의 부적합 원인은 표시 위반이 75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류미비ㆍ제조공정 미제출 등 기타 △식품첨가물 △미생물 △잔류농약 순으로 뒤를 이었다. 국가별 부적합 원인은 중국 수출 식품은 ‘식품첨가물’이 가장 많았으며, 미국은 ‘표시 위반’, 일본은 ‘미생물 부적합’이 가장 많은 등 나라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K-푸드안전정보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식약처 백혜진 소비자위해예방국장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가 25일 서울식약청 대강당에서 개최한 2019년 ‘K-푸드안전정보포럼’에서 식품안전정보원 박은정 선임연구원은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3개년 동향’ 발표를 통해 “최근 3년간 한국산 수출식품의 부적합은 중국이 617건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 587건, 대만 85건, 일본 69건, EU 29건 등이었다”고 밝혔다.

주요국에 수출된 한국산 식품의 부적합 원인은 표시 위반이 758건(39%)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류미비ㆍ제조공정 미제출 등 기타 343건(18%), 식품첨가물 303건(16%), 미생물 238건(12%), 잔류농약 158건(8%) 등이었다.

2016~2018년 중국에서 발생한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617건 가운데 대부분이 가공식품(603건)이었으며, 특히 조미김과 과자류가 각각 117건, 113건으로 많았다. 원인별로는 식품첨가물이 71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생물 154건, 표시 위반 130건 등으로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미국에서 발생한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587건 가운데 가공식품이 328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특히 음료류가 110건으로 가장 많았다. 원인별로는 표시 위반이 623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112건, 식품첨가물 95건, 비위생적 처리 80건 등이었다.

일본에서 발생한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69건 중 가공식품이 47건으로 68%를 차지했으며, 가공식품 중에서는 수산물가공품이 22건으로 가장 많았다. 원인별로는 미생물이 4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식품첨가물이 뒤를 이었다.

대만에서 발생한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85건 중에서는 농산물이 65건으로 가장 많았다. 농산물 중 채소류가 52건, 과일류가 13건이었으며, 세부 품목으로는 배추가 39건으로 최다를 차지했다. 원인별로는 잔류농약의 비중이 83건, 80%로 가장 컸으며, 식품첨가물이 19건으로 다음으로 많았다.

박 선임연구원은 “중국에서는 식품첨가물과 미생물 등으로 인한 부적합이 다수 발생하고 있는 만큼 식품안전국가표준(GB) 체계에 대한 이해와 GB 제ㆍ개정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미국에서는 표시 위반으로 인한 부적합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식품 표시사항에 관한 FDA 규정 및 관련 지침 파악이 요구되며, 내년 1월부터 시행되는 영양성분표 개정판을 사전에 숙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박 선임연구원은 “일본에서는 수산식품의 미생물 부적합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며, “미생물 관리기준을 모니터링하고, ‘연간 수입식품 감시ㆍ지도 계획’을 참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풀무원 권도영 팀장이 ‘글로벌 EPM(환경 중 병원성 미생물 모니터링) 대응 시스템 구축사례’, 농심 한유탁 대리가 ‘중국 식품 관련 법령 및 이슈’를 발표했으며, 올해 K-푸드안전정보포럼 활동내용을 공유하고, 유공자를 시상했다.

▲ 2019년 ‘K-푸드안전정보포럼’ 식약처장 표창 수상자들이 식약처 백혜진 소비자위해예방국장(가운데)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