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통합제어로 농가 부담 덜고 생산성 높여

▲ 스마트축산 모델을 적용한 젖소 농장

[식품저널] 빅데이터에 기반한 스마트축산 모델이 통합 제어로 농가의 부담은 덜면서 생산성은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이 개발한 스마트축산 모델은 통합제어기로 각 ICT 장치의 데이터를 통합,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사양과 축사환경, 건강관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축산 모델을 농장에 설치하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 편의성뿐 아니라 생산성도 향상됐다.

한우 스마트축산 모델 농장의 경우 노동력이 줄면서 사육 마릿수가 120마리에서 150마리로 30마리 늘었다. 개체별 정밀 사양 관리로 암소의 평균 공태일(비임신 기간)이 60일에서 45일로 15일 줄고, 송아지 폐사율도 10%에서 절반으로 낮아졌다.

젖소 스마트축산 모델 농장은 정밀 개체 관리로 한 마리당 40㎏이던 하루 평균 착유량이 43㎏으로 늘고, 5%였던 평균 도태율도 1.5%로 낮아졌다. 평균 공태일은 220일에서 150일로 줄었다.

돼지 스마트축산 모델 농장에서는 어미돼지 한 마리당 젖을 뗀 새끼돼지(이유두수, PSY)가 연간 18.7마리에서 25.7마리로 37.4% 늘었다. 어미돼지 한 마리당 연간 출하마릿수(MSY)도 23.7마리로 33.1% 늘고, 사료 요구율은 3.5㎏에서 3.12㎏으로 10.9% 줄었다.

▲ 스마트축산 모델 및 통합관리 시스템

농진청은 스마트축산 모델의 발전을 위해 통합제어기를 개방형으로 고도화하고, 스마트축산 모델의 구성요소로 활용할 로봇착유기, 무인 오리깔짚 살포 장치 등 다양한 ICT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농진청 양창범 국립축산과학원장은 “그동안 구축한 통합시스템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로 가축 생애주기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스마트축산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노동력 부담은 덜고 생산성은 높이기 위해 스마트농업을 중점 추진하고 있으며, R&D 투자를 확대해 2022년까지 축산 전업농가의 25% 수준인 5750곳에 ICT 장치를 보급할 계획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