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ㆍ건기식ㆍ고가 조리기구 수입증가세 높아

 
▲ 지난해 1871개 식품 품목이 수입됐으며, 수입 금액으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정제가공용 원료, 수입 중량으로는 정제가공용 원료, 밀, 옥수수가 가장 많이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1483건 부적합…중국산 최다
식약처, 2018년 수입식품 동향 분석

[식품저널] 지난해 166개국으로부터 274억 달러어치, 1855만 톤의 식품이 수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수입 금액과 중량 모두 미국산이 가장 많았으며, 농ㆍ임산물 및 가공식품의 수입 증가세가 주춤한 반면, 축산물과 건강기능식품, 고가의 식품조리용 기구(가전) 수입은 전년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은 지난해 식품 수입 금액은 전년보다 9.7%, 수입 중량은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입 금액과 중량 모두 미국이 가장 많았다고 31일 밝혔다.

수입 금액은 미국이 64억3239만 달러로 가장 높았고, 중국(47억7342만 달러), 호주(24억142만 달러), 베트남(13억4119만 달러), 러시아(9억8054만 달러)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5개국 수입 금액이 전체 수입 금액의 58.1%를 차지했다.

수입 중량은 미국이 467만 톤으로 가장 많았고, 호주(311만 톤), 중국(305만 톤), 러시아(106만 톤), 태국(77만 톤)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5개국 수입량이 전체 수입량의 68.3%를 차지했다.

미국에서는 밀, 옥수수, 대두, 호주에서는 정제가공용 원료, 밀, 소고기, 중국에서는 배추김치, 정제소금, 고추가 많이 수입됐다.

2018년에는 1871개 품목이 수입됐으며, 수입 금액으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정제가공용 원료, 수입 중량으로는 정제가공용 원료, 밀, 옥수수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중량 순으로 많이 수입된 품목은 농ㆍ임산물의 경우 401개 품목이 수입됐으며 밀, 옥수수, 대두, 바나나, 쌀 순으로 수입량이 많았다.

축산물은 83개 품목이 수입됐으며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자연치즈, 혼합분유 순으로 수입량이 많았다.

수산물은 305개 품목이 수입됐으며 냉동명태, 냉동오징어, 냉동새우, 냉동고등어, 냉동게 순으로 많이 수입됐다.

가공식품은 232개 품목이 수입됐으며 정제가공용 원료, 맥주, 배추김치, 과채가공품, 정제소금 순으로 수입량이 많았다.

230개 품목이 수입된 건강기능식품은 비타민/무기질, EPA 및 DHA 함유 유지, 단백질, 개별인정형 제품, 칼슘 순으로 많이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첨가물은 518개 품목이 수입됐는데 초산전분, L-글루타민산나트륨, 혼합제제, 구연산, 인산 순으로 수입량이 많았다.

102개 품목이 수입된 기구용기포장은 종이제, 스테인레스제, 도자기제, 무착색유리제, 폴리프로필렌제 순으로 많이 수입됐다.

지난해 만 톤 이상 수입된 품목 중 전년보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귀리’로 나타났다. 귀리 수입량은 전년보다 104.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아보카도(93.1%), 철제기구(61.7%), 알루미늄제기구(59.2%), 콩기름(56.8%)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2018년 수입식품 부적합률은 0.2%(72만8119건 중 1483건 부적합)로, 전년(0.19%)보다 0.01%p 상승했다.

전체 수입국 166개국 중 66개국, 1871개 품목 중 285개 품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국가별로는 중국이 382건(부적합률 0.20%)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174건, 0.17%), 베트남(151건, 0.50%), 태국(111건, 0.33%), 이탈리아(75건, 0.25%) 순으로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기타가공품이 72건으로 가장 많았고 과채가공품(69건), 소스류(56건), 스테인레스기구(52건), 과자(45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

부적합 사유는 기준ㆍ규격(함량, 산가 등) 위반이 가장 많았으며 식품첨가물 사용기준(보존료, 색소 등) 위반, 미생물(세균수, 대장균군 등) 기준 위반이 다음으로 많았다.

식약처는 올해 부적합 실적이 있는 해외 제조업소에 대한 현지실사 확대, 위해우려 식품의 수입신고 보류, 위해정보 등에 따른 안전성을 입증토록 하는 검사명령제 확대 등을 통해 위해도 중심으로 수입식품을 관리하고, 수입 전(全) 과정의 정보를 연계하는 지능형 수입식품통합시스템을 구축해 수입식품 안전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2018년 수입식품 검사 현황

연도별 수입현황
* (%) : 전년대비 증가율

연도

건수

중량(톤)

금액(천$)

금액(한화)

2014

554,177(12.1%)

16,358,300(5.3%)

23,111,675(7.2%)

24조3,460억

2015

598,082(7.9%)

17,064,298(4.3%)

23,294,689(0.8%)

26조3,751억

2016

625,443(4.6%)

17,260,902(1.2%)

23,437,632(0.6%)

27조2,192억

2017

672,278(7.5%)

18,295,687(6.0%)

24,972,153(6.5%)

28조2,425억

2018

728,119(8.3%)

18,553,643(1.4%)

27,443,151(9.7%)

30조1,839억

연평균 증가율

7.06%

3.20%

4.35%

5.52%

* 2018년 수치는 잠정치, 품목수는 세부 품목수와 다를 수 있음(이하 같음)
** 환율($) : 2014년 1,053.41원, 2015년 1,132.24원, 2016년 1,161.35원, 2017년 1,130.96원, 2018년 1,101.476원(출처 : KEB하나은행 연도별 평균환율)

품목군별 수입현황
* (%) : 2017년 대비 증감률

품목군

2018

2017

건수

중량(톤)

금액(천$)

건수

중량(톤)

금액(천$)

728,119
(8.3%)

18,553,651
(1.4%)

27,403,256
(9.7%)

672,273

18,295,687

24,972,153

농임산물

71,258
(3.1%)

8,808,088
(-2.5%)

5,286,357
(4.4%)

69,121

9,037,001

5,064,152

가공식품

271,740
(7.9%)

6,190,227
(3.0%)

6,881,343
(1.4%)

251,756

6,009,302

6,783,933

건강기능식품

12,043
(12.6%)

13,531
(22.2%)

612,715
(20.2%)

10,691

11,069

509,619

식품첨가물

39,074
(4.3%)

373,908
(2.5%)

944,258
(6.4%)

37,480

364,863

887,229

기구용기포장

118,673
(12.6%)

379,907
(7.2%)

2,035,016
(13.5%)

105,429

354,332

1,793,605

축산물

115,411
(13.1%)

1,672,910
(15.6%)

6,876,122
(19.1%)

102,027

1,447,534

5,775,075

수산물

99,920
(4.3%)

1,115,071
(4.1%)

4,767,445
(14.6%)

95,769

1,071,586

4,158,540

218년도 상위 10개국 수입 현황

순위

건수순

중량순(톤)

금액순(천$)

총계(166개국)

728,119

18,553,651

27,403,256

소계(10개국)

536,092

15,265,905

19,452,417

비율(%)

73.6%

82.3%

71.0%

1

중국(191,137)

미국(4,671,936)

미국(6,432,397)

2

미국(100,495)

호주(3,110,701)

중국(4,773,420)

3

일본(50,487)

중국(3,056,997)

호주(2,401,429)

4

태국(33,181)

러시아연방(1,058,305)

베트남(1,341,196)

5

프랑스(31,785)

태국(772,139)

러시아연방(980,549)

6

베트남(30,424)

브라질(750,287)

태국(838,418)

7

이탈리아(29,995)

베트남(614,679)

독일(809,344)

8

호주(29,697)

캐나다(473,079)

일본(668,196)

9

독일(22,704)

필리핀(454,457)

브라질(613,621)

10

스페인(16,186)

독일(303,325)

캐나다(593,848)

2018년 품목군별 수입 중량 상위 10개 품목 현황
                                                                             (단위 : 톤)

순위

농임산물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기구용기포장

축산물

수산물

총계

8,808,088
(401개 품목)

6,190,235
(232개 품목)

13,531
(230개 품목)

373,908
(518개 품목)

379,907
(102개 품목)

1,672,910
(83개 품목)

1,115,071
(305개 품목)

소계
(10개 품목)

7,763,134

4,567,610

8,483

229,431

326,543

1,546,850

632,659

비율

88.1%

73.8%

62.7%

61.4%

86.0%

92.5%

56.7%

1


(2,418,976)

정제가공용원료
(2,624,842)

비타민/무기질
(2,088)

초산전분
(66,872)

기구류 중
종이제
(92,605)

돼지고기
(658,656)

냉동명태
(216,231)

2

옥수수
(2,285,439)

맥주
(395,002)

EPA 및 DHA 함유유지(원료성)
(1,539)

L-글루타민산나트륨
(27,671)

기구류 중
스테인리스제
(64,651)

쇠고기
(486,505)

냉동오징어
(129,018)

3

대두
(1,332,770)

배추김치
(293,349)

단백질
(1,143)

혼합제제
(25,095)

기구류 중
도자기제
(37,516)

계육
(135,243)

냉동새우
(65,265)

4

바나나
(433,740)

과채가공품
(268,979)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890)

구연산
(21,240)

기구류 중
무착색유리제
(30,302)

자연치즈
(105,929)

냉동고등어
(41,732)

5


(425,551)

정제소금
(244,266)

칼슘
(639)

인산
(20,952)

기구류 중
폴리프로필렌
(25,377)

혼합분유
(54,932)

냉동게
(33,937)

6

고추
(248,019)

천일염
(156,909)

비타민C
(501)

L-글루타민산
(20,093)

기구류 중
폴리에틸렌
(23,596)

양념육
(28,256)

냉동꽁치
(31,023)

7

보리
(224,878)

서류가공품
(155,029)

비타민
(469)

규조토
(13,956)

기구류 중
알루미늄제
(18,805)

탈지분유
(24,394)

냉동가자미
(30,177)

8

커피
(143,920)

절임식품
(153,364)

EPA 및 DHA 함유유지제품
(458)

탄산수소
나트륨
(12,534)

기구류 중
철제
(13,382)

가공버터
(22,403)

냉동주꾸미
(29,006)

9

오렌지
(142,111)

연육
(143,389)

치커리추출물(원료성)
(386)

탄산나트륨
(11,303)

기구류 중
불소수지
(10,943)

면양고기
(16,623)

냉동아귀
(28,329)

10

당근
(107,730)

곡류가공품
(132,482)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원료성)
(368)

산성백토
(9,713)

기구류 중
목재류
(9,366)

가공유크림
(13,909)

냉동낙지
(27,941)

2017년 대비 수입증가율 상위 10개 품목 현황(만 톤 이상 수입품목 대상)
                                                                             (단위 : 톤)

순위

품목군

품목명

2017

2018

2017 대비

1

농임산물

귀리

20,810

42,620

104.8%

2

농임산물

아보카도

6,027

11,640

93.1%

3

기구용기포장

기구류중철제

8,275

13,382

61.7%

4

기구용기포장

기구류중알루미늄제

11,811

18,805

59.2%

5

가공식품

콩기름(대두유)

10,337

16,208

56.8%

6

가공식품

해바라기유

8,077

12,187

50.9%

7

수산물

냉동오징어

89,984

129,018

43.4%

8

기구용기포장

기구류중불소수지

7,768

10,943

40.9%

9

수산물

냉동연어

10,225

13,559

32.6%

10

수산물

냉동가오리

8,336

11,038

32.4%

최근 5년간(2014~2018) 연평균 중량 증가율 상위 10개 품목 현황(만 톤 이상 수입품목 대상)
                                                                             (단위 : 톤)

품목군

품목명

2014

2015

2016

2017

2018

연평균
증가율

농임산물

양파

6,217

164,206

53,232

161,911

67,987

81.8%

농임산물

양배추

1,231

4,265

6,779

13,751

13,296

81.3%

농임산물

아보카도

1,091

1,513

2,915

6,027

11,640

80.7%

수산물

염장새우

4,860

19,035

19,058

16,072

19,988

42.4%

수산물

냉장연어

6,804

11,612

15,798

19,163

24,768

38.1%

가공식품

맥주

120,164

174,551

223,623

349,471

395,002

34.6%

축산물

유크림

4,143

3,234

12,955

11,733

12,851

32.7%

기구용기포장

기구류중종이제

34,815

34,256

40,888

78,255

92,605

27.7%

기구용기포장

기구류중철제

5,101

6,219

6,361

8,275

13,382

27.3%

축산물

면양고기

6,380

8,020

10,331

15,605

16,623

27.0%

연도별 부적합 현황

연도

건수

중량(톤)

금액(천$)

국가수

품목수

2014

1,242

6,879

16,984

54

250

2015

1,397

13,655

19,563

65

268

2016

1,250

4,833

15,753

59

259

2017

1,279

4,884

15,622

68

260

2018

1,483

34,624

26,559

66

285

2018년 부적합 건수 상위 5개 국가 및 품목 현황

국가별

품목별

국가

수입

부적합

부적합률

품목

수입

부적합

부적합률

중국

191,138

382

0.20%

기타가공품

6,663

72

1.08%

미국

100,495

174

0.17%

과채가공품류

16,963

69

0.41%

베트남

30,424

151

0.50%

소스류

8,960

56

0.63%

태국

33,181

111

0.33%

스테인리스기구

28,954

52

0.18%

이탈리아

29,995

75

0.25%

과자

14,739

45

0.31%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