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식품 수입액 7% 증가 250억8772만불

▲ 지난해 수입식품 품목별 수입액은 소고기가 24억6378만 달러로 가장 컸으며, 이어 돼지고기(16억3765만 달러), 정제ㆍ가공용 식품원료(15억6306만 달러), 대두(6억1222만 달러), 밀(5억4979만 달러) 등 순으로 수입액이 많았다.

부적합 1284건…가공식품 최다
식약처, 2017년 수입식품 동향 분석 결과

지난해 수입식품 규모가 전년보다 7.0% 증가한 250억8772만 달러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산, 품목별로는 소고기 수입액이 가장 많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6일 발표한 2017년 수입식품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식품 규모는 금액 기준 250억8772만 달러, 중량으로는 1829만3759톤, 건수로는 67만2278건을 기록했으며, 총 168개국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과 비교해 수입 금액은 7.0%, 중량은 6.0%, 수입 건수는 7.5% 증가했다.

수입액은 미국이 54억3332만 달러로 가장 컸으며, 중국(41억9887만 달러), 호주(25억7248만 달러), 베트남(11억8569만 달러), 러시아(9억4170만 달러) 순으로 뒤를 이었다.

미국에서는 소고기와 돼지고기, 중국에서는 스테인레스제ㆍ폴리프로필렌 재질 기구류와 쌀, 호주에서는 소고기와 정제ㆍ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원당, 조주정, 정제용 대두유, 정제용 팜유 등), 베트남에서는 냉동새우와 냉동주꾸미, 러시아에서는 냉동명태와 옥수수가 주로 수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수입 중량 역시 미국이 413만5090톤으로 가장 컸으며, 호주(350만1992톤), 중국(294만117톤), 러시아(124만4154톤), 브라질(89만8119톤) 순으로 뒤를 이었다.

수입신고 건수는 중국이 17만5891건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9만2563건), 일본(4만6653건), 프랑스(2만8394건), 태국(2만8315건) 순으로 많았다.

중국산 제품의 신고 건수가 많은 이유는 스테인레스제, 폴리프로필렌제, 도자기제 등 품목수 자체가 다양한 기구류나 국내 소비량이 많은 배추김치가 주로 수입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품목별 수입액은 소고기가 24억6378만 달러로 가장 컸으며, 이어 돼지고기(16억3765만 달러), 정제ㆍ가공용 식품원료(15억6306만 달러), 대두(6억1222만 달러), 밀(5억4979만 달러) 등 순으로 수입액이 컸다.

수입량이 가장 많은 품목은 정제ㆍ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268만2831톤)였으며, 이어 밀(245만3889톤), 옥수수(243만8779톤), 대두(132만4713톤), 돼지고기(53만5026톤) 등의 수입량이 많았다.

수입신고 건수는 소고기(3만6160건), 돼지고기(2만8016건), 스테인렌스제 기구류(2만4853건), 과실주(2만4480건), 폴리프로필렌제 기구류(1만7716건) 순으로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수입신고된 67만2278건 가운데 1284건(0.19%)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가공식품 비중이 57.9%로 가장 컸으며 기구류(15.0%), 건강기능식품(7.9%), 농ㆍ임산물(6.5%), 축산물(6.0%), 수산물(5.5%), 식품첨가물(1.3%) 순으로 부적합 비중이 높았다.



2017년 수입식품 동향 브리핑. 영상 식약처 제공

2017년 식품 수입 현황

구분

2017년

2016년

비고(증가율, %)

건수(건)

672,278

625,443

7.5

중량(천톤)

18,294

17,261

6.0

금액(백만$)

25,088

23,438

7.0

품목군별 수입 현황

품목군

2017년

2016년

건수
(건)

비율
(%)

중량
(천톤)

비율
(%)

금액
(백만불)

비율
(%)

건수
(건)

중량
(천톤)

금액
(백만불)

672,278

7.5

18,294

6.0

25,088

7.0

625,443

17,261

23,438

농ㆍ임산물

69,121

10.4

9,037

8.5

5,086

4.4

62,616

8,330

4,873

축산물

102,027

5.5

1,448

8.4

5,775

14.9

96,686

1,335

5,027

수산물

95,768

9.1

1,072

3.9

4,158

13.3

87,783

1,032

3,670

가공식품

251,762

6.0

6,007

3.5

6,818

2.5

237,516

5,804

6,650

건강기능식품

10,691

1.3

11

2.7

510

0.7

10,555

11

507

식품첨가물

37,480

0.0

365

5.5

898

7.6

37,481

346

835

기구 또는 용기ㆍ포장

105,429

13.6

354

△12.1

1,842

△1.8

92,806

403

1,876

* 비율 : 2016년도 대비 2017년도 수입량 증감율

품목군별 부적합 현황

품목군

2017년

2016년

건수
(건)

비율
(%)

중량
(톤)

금액
($)

건수
(건)

중량
(톤)

금액
($)

1,284

100.0

4,885

15,633

1,250

4,837

15,340

농.임산물

83

6.5

1,265

2,030

99

1,096

1,632

축산물

77

6.0

442

939

34

165

578

수산물

70

5.5

608

2,099

64

511

2,645

가공식품

743

57.9

2,247

7,909

744

2,497

7,440

건강기능식품

102

7.9

28

1,339

113

32

1,301

식품첨가물

17

1.3

63

65

22

345

171

기구 또는 용기ㆍ포장

192

15.0

232

1,252

174

191

1,573

2017년 중량 기준 상위 20개 품목

순위

품목군

품목명

건수
(건)

중량
(천톤)

금액
(백만불)

1,834 품목

672,278

18,294

25,088

소계

20 품목

134,387

(20.0%)

13,230

(72.3%)

10,273

(40.9%)

1

가공식품

정제ㆍ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

2,095

2,683

1,563

2

농임산물

976

2,454

550

3

농임산물

옥수수

747

2,439

494

4

농임산물

대두

774

1,325

612

5

축산물

돼지고기

28,016

535

1,638

6

농임산물

145

454

300

7

농임산물

바나나

4,028

439

359

8

축산물

소고기

36,160

415

2,464

9

가공식품

맥주

8,478

349

270

10

가공식품

배추김치

15,065

276

123

11

가공식품

과ㆍ채가공품류

15,517

250

458

12

농임산물

보리

765

227

119

13

농임산물

고추

2,465

227

126

14

수산물

냉동명태

1,633

218

242

15

가공식품

정제소금

205

207

15

16

농임산물

양파

3,170

162

51

17

가공식품

서류가공품

5,470

149

174

18

농임산물

커피

5,902

149

489

19

농임산물

오렌지

2,568

141

220

20

가공식품

천일염

208

133

7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