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임식 식약처 과장, ‘식의약 안전정보 제공 개선 방향’ 포럼서 밝혀

▲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 본 식의약 안전정보 제공 개선방향’을 주제로 열린 소비자포럼 토론 모습

식의약 정보 홍수 시대에 소비자 맞춤ㆍ통합형 안전정보 제공을 위해 ‘식의약 위해정보관리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14일 서울YWCA 대강당에서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 본 식의약 안전정보 제공 개선방향’을 주제로 소비자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소비자 맞춤ㆍ통합형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개선방안’을 발표한 이임식 식품의약품안전처 위해정보과장은 단기적인 개선 방안으로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산재된 정보를 한 곳에 모으는 식의약 위해정보 전용 사이트 구축과 업계, 학계, 정부기관과의 정보교류협의체 운영을 제안했다. 또, 소비자단체와 협업을 통한 정보 공유와 잠재 이슈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중장기 개선 방안으로는 소비자 관심과 불만 사항에 대한 정보를 상시 수집ㆍ분석하는 현장정보 리포터 운영과 ‘식의약 빅데이터센터’ 설치, ‘식의약 위해정보관리법’ 제정 등을 제안했다.

‘식의약 정보실태 및 문제점’에 대해 발표한 임은경 소협 사무총장은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정보매체와 관련해 연령대별로 특징을 감안해 운용할 것을 제안했다.

임 사무총장은 또 “GMO, MSG 등 찬반 논란이 있는 이슈와 관련해서는 법적 설명 외에 가치논란의 이유 설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 사무총장은 “식의약 정보 분류 및 검색도 소비자 지향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동일 유형의 정보는 다목적(다분류)으로 검색이 가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2회 이상 언급된 제품은 부작용 의심제품으로 분류해 별도의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열린 토론에서, 곽노성 전 식품안전정보원장은 “공식적인 SNS나 블로그 등을 통한 일방적인 공급자 중심의 정보전달 체계에서 벗어나 이제는 ‘소비자 친화적인 정보 생태계’ 마련을 위해 고민할 때”라며, “현재 식의약 관련 정보는 충분히 있지만 소비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욱 이화여대 교수는 “현재 법과 제도의 문제보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거나 해석에 논란이 있는 가짜뉴스 등이 소비자들의 판단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하고, “사실 기반의 다양한 정보 중에서 소비자가 선택할 기회를 주는 동시에 전문용어보다는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정보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찬반양론 사안의 조정 체계와 위기관리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기환 중앙대 교수는 “위해정보만 있으면 소비자가 심리적으로 불안해 할 우려가 있으므로 기본정보도 함께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아직도 공급자 위주로 정보가 제공되고 있어 검색 시 연관도 높은 정보가 먼저 보이도록 개선해야 하며, 식약처 소관이 아니더라도 식의약 관련 안전정보는 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태민 삼육대 교수는 “그동안 축적된 식의약 안전정보 빅데이터를 분석해 소비자의 불안 징후를 예측하고, 식의약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주영 녹색소비자연대 본부장은 “식의약 정보에 대해 과학적 사실을 기반으로 충분한 설명을 해주고 소비자들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특히, “식약처의 적극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논란이 있다고 해서 언급조차 하지 않는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향기 소협 식품안전위원장은 “식의약 위해정보 사이트가 또 하나의 사이트 구축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소비자단체의 소비자 상담내용도 표준화 할 수 있게 연계하고, 수요자 입장에서 맞춤형ㆍ통합형 정보 검색이 가능하도록 적극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