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 18일 2017 농업전망대회 개최


김창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농업전망 2017 기자간담회 동영상 보기

쌀과 축산업 생산액 증가로 올해 농업생산액이 전년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1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에 따르면, 올해 농업생산액은 전년대비 0.8% 증가한 43조2770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중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1.3% 감소한 24조3420억 원으로 예측됐으며, 재배업 가운데 곡물 생산액은 전년대비 1.4%(쌀 생산액은 1.2%) 증가, 과실은 2.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작황부진으로 가격이 급등했던 채소는 생산량 회복으로 전년보다 가격 하락이 예상됨에 따라 생산액이 5.2%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농업생산액 중 축산업 생산액은 AI 발생에 따른 산란계, 오리 가격 상승으로 전년대비 3.7% 증가한 18조9350억 원으로 추정됐다. 한육우와 돼지는 생산액이 전년대비 각각 1.7%,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배합사료 가격은 하락 국제유가는 상승…농업경영비 0.3% 증가 추정
국제곡물가격의 하향안정세로 배합사료 가격은 전년대비 0.5% 하락하나,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해 영농광열비, 영농자재비 등 투입재 가격은 전년대비 1.6%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따라서 농업경영비는 전년대비 0.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호당 농가소득 전년대비 0.5% 증가 전망
농업생산액 증가폭(0.8%)이 농업경영비 증가폭(0.3%)보다 커서 2017년 농업소득은 전년대비 1.8%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호당 농업소득과 농외소득은 전년보다 각각 1.8%, 2.4% 증가해 2017년 호당 농가소득은 전년대비 0.5% 증가한 3831만 원으로 추산됐다.

농가인구 2.1%, 농가호수 1.4% 감소
2017년 농가인구는 전년대비 2.1% 감소한 247만 명으로, 농가호수는 전년대비 1.4% 감소한 106만 호로 추정됐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은 전년보다 0.9%p 증가한 40.2%로 예측돼 농가인구의 과소화 및 고령화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농촌인구는 귀농ㆍ귀촌 영향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쌀 가격 80㎏당 13만5000원 내외 전망
2017양곡년도 단경기 쌀 가격은 수확기 가격(12만9807원/80㎏)대비 4.0% 상승한 13만5000원/80㎏ 수준으로 추정된다.

2017년 벼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2.1% 감소한 76만2000ha, 평년단수(522㎏/10a) 가정 시 2018양곡연도 쌀 생산량은 397만9000톤 수준으로 예측됐다.

한우고기 도매가격 5% 하락 ㎏당 1만7230원
2017년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생산마릿수보다 도축마릿수 규모가 커 전년대비 1.0% 감소한 267만 마리로 예상된다. 도축마릿수 증가로 2017년 국내 쇠고기 생산량은 2016년보다 3.5% 증가한 22만7000톤, 쇠고기 수입량은 0.7% 증가한 36만4000톤으로 전망된다.

2017년 돼지 사육마릿수는 2014년부터 이어진 후보돈 입식 증가로 전년대비 3.1% 증가한 1080만 마리로 예측된다. 도축마릿수 증가로 2017년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3.3% 하락한 ㎏당 4450원으로 추정된다.

2017년 계란 산지가격은 특란 10개 기준 전년보다 62.3% 상승한 1772원으로 추정됐다.

오렌지ㆍ수입열대과일 소비 증가
2017년 6대 과일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0.7% 감소한 10만8000ha 수준으로 예상된다. 작황이 평년 수준일 경우 2017년산 과일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과와 복숭아는 재배면적이 각각 1%, 5% 증가하는 반면, 배, 포도, 감귤, 단감은 각각 2%, 11%, 1%, 2% 감소가 예상된다. 2017년 사과, 포도, 단감 생산량은 증가하나 배, 감귤은 감소하며, 복숭아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2017년 과일 수입량은 전년보다 2% 증가한 83만5000톤 수준으로 예측됐다. 오렌지와 포도 수입량은 각각 5%, 4% 증가하고, 열대과일은 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엽근채소 가격 상승 양념채소는 하락
2017년 상반기 엽근채소 가격은 기상악화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겨울작형 생산량이 감소해 전년보다 높을 전망이다. 시설봄작형 재배의향 증가로 출하가 본격화되는 5월 이후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2017년 엽근채소 재배면적은 6만2317ha로 전년대비 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배추, 무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10% 내외 증가하고 양배추, 당근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주요 엽근채소(배추, 당근) 수입량은 국내 생산량 증가로 전년보다 6%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7년 건고추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9%, 양파는 10% 감소하나, 마늘과 대파는 2016년 가격 상승으로 전년대비 각각 7%, 11%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상반기 건고추 가격은 공급량이 많아 전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되며, 양파는 재고량 증가로 전년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

마늘 가격은 수입량 증가로 2017년산 수확기 이전까지 전년보다 낮을 전망이며, 대파는 겨울대파 출하량 감소로 1월까지는 전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8일 오전 9시 30분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미래를 향한 농업ㆍ농촌, 변화와 도전’을 주제로 2017 농업전망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망대회에서는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017년 농정 방향과 주요 정책과제’, 김창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이 ‘2017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에 대해 각각 발표하고, 송종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이 ‘4차 산업혁명과 농업ㆍ농촌’을 주제로 특강을 한다.

이어 △인구사회구조 변화와 대응 △농식품 시장 변화와 농업의 활로 △기후ㆍ기술 변화와 미래의 농림업 △국제 통상ㆍ협력 질서 변화와 도전 등 정책 이슈를 발표하고 △곡물 △과일ㆍ과채 및 임산물 △채소 △축산 등 산업별 동향과 전망에 대해 발표와 토론을 한다.

이날 서울대회를 시작으로 호남권은 2월 7일 전북도청에서, 영남권은 2월 9일 경북도청에서 각각 열린다.

농업부문 생산액 전망
                                                                                        (단위 : 10억 원, 경상)

 

2015

2016
(추정)

2017

2021

2026

연평균 변화율(%)

16/15

17/16

26/16

농업 총 생산액

44,519

42,937

43,277

44,475

48,886

-3.6

0.8

1.3

 

 

 

 

 

 

 

 

 

재배업

25,307

24,673

24,342

24,496

25,060

-2.5

-1.3

0.2

 

곡물류

8,830

7,633

7,741

6,850

6,200

-13.6

1.4

-2.1

채소류

8,989

9,700

9,194

9,752

10,278

7.9

-5.2

0.6

과실류

3,687

3,453

3,531

3,742

4,069

-6.3

2.2

1.7

특용기타

1,474

1,466

1,465

1,638

1,871

-0.5

-0.1

2.5

축잠업1)

19,212

18,264

18,935

19,978

23,826

-4.9

3.7

2.7

 

한육우

4,708

4,465

4,388

4,700

5,374

-5.2

-1.7

1.9

돼지

6,967

6,770

6,660

7,077

8,497

-2.8

-1.6

2.3

1,910

1,990

2,084

2,286

2,865

4.2

4.8

3.7

계란

1,837

1,563

2,214

1,947

2,441

-14.9

41.6

4.6

젖소

2,285

2,215

2,219

2,316

2,464

-3.1

0.2

1.1

오리

814

618

706

 

 

 

 

 

주 : 1)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2012 책자부터 축산업에 양잠업을 합친 축잠업을 발표
자료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농업부문 부가가치 전망
                                                                                        (단위 : 10억 원, 경상)

 

2015

2016
(추정)

2017

2021

2026

연평균 변화율(%)

16/15

17/16

26/16

농업

26,812

26,226

26,565

26,041

27,604

-2.2

1.3

0.5

재배업

18,005

17,838

17,439

17,223

17,426

-0.9

-2.2

-0.2

축산업

8,808

8,389

9,126

8,818

10,178

-4.8

8.8

2.0

주 : 부대서비스는 제외함.
자료 : 한국은행,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경지면적과 경지이용률 전망

단위

단위

2015

2016
(추정)

2017

2021

2026

연평균 변화율

16/15

17/16

26/16

경지면적

천 ha

1,679

1,667

1,658

1,628

1,599

-0.7

-0.6

-0.4

농가호당
경지면적

ha

1.5

1.6

1.6

1.6

1.7

0.9

0.9

0.7

농가 인구당
경지면적

a

65.3

66.2

67.2

71.9

78.9

1.3

1.5

1.8

국민 1인당
경지면적

a

3.3

3.3

3.2

3.1

3.0

-1.2

-1.0

-0.7

재배면적

천 ha

1,681

1,650

1,638

1,572

1,502

-1.9

-0.7

-0.9

경지이용률

%

106.7

105.4

105.3

102.9

100.1

-1.2%p

-0.1%p

-0.5%p

자료 :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호당 농업경영비 전망
                                                                                        (단위 : 천 원, 경상)

 

2015

2016
(추정)

2017

2021

2026

연평균 변화율(%)

16/15

17/16

26/16

농업총수입

33,654

32,981

33,242

34,163

37,551

-2.0

0.8

1.3

농업경영비

22,398

22,022

22,086

22,862

25,644

-1.7

0.3

1.5

농업경영비 비중

(66.6)

(66.8)

(66.4)

(66.9)

(68.3)

0.2%p

-0.3%p

0.2%p

자료 : 통계청,「농가경제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호당 농가소득 전망
                                                                                        (단위 : 천 원, 경상)

 

2015

2016
(추정)

2017

2021

2026

연평균 변화율(%)

16/15

17/16

26/16

농가소득

37,216

38,113

38,311

40,300

41,948

2.4

0.5

1.0

농업소득

11,257

10,959

11,156

11,301

11,908

-2.6

1.8

0.8

농외소득

14,939

15,307

15,670

16,987

18,531

2.5

2.4

1.9

이전소득

7,906

8,727

8,358

8,858

8,323

10.4

-4.2

-0.5

비경상소득

3,114

3,120

3,126

3,154

3,187

0.2

0.2

0.2

자료 : 통계청,「농가경제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농가호수, 농가인구, 농림업취업자, 농촌인구 전망

 

단위

2015

2016(추정)

2017

2021

2026

연평균 변화율(%)

16/15

17/16

26/16

농가호수

만 호

109

107

106

101

96

-1.6

-1.4

-1.1

농가인구

만 명

257

252

247

226

203

-2.0

-2.1

-2.2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율)

%

38.4

39.3

40.2

44.1

49.3

0.9%p

0.9%p

1.0%p

총 인구 중
농가인구 비율

%

5.0

4.9

4.8

4.3

3.8

-0.1%p

-0.1%p

-0.1%p

농림업취업자

만 명

135

133

132

126

116

-0.9

-1.0

-1.4

농촌인구
(내국인만)1)

만 명

945

944

943

935

909

-0.1

-0.1

-0.4

농촌인구
(외국인 포함)

만 명

982

987

991

1,004

1,004

0.4

0.4

0.2

주 : 1) 농촌인구는 최근 5년의 평균 전입률을 이용하여 전망함.
자료 :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ASMO(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