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왕을 흠모한 장군

엘리자베스 1세는 평생을 처녀로 지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동안 어찌 남자들의 유혹이 없었을까? 이 여왕을 사모하는 장군이 있었는데, 여왕은 그 많은 사람 중에 하나려니 하고 무관심했다.

그러나 쉽게 포기하지 않고 자꾸 추근대는지라, 어느 날 저녁 여왕은 이 장군을 집으로 초대했다. “드디어 꿈이 이루어지는 구나”라고, 설레는 마음으로 여왕을 기다리고 있는데, 화사하게 차려입은 여왕이 금 쟁반에 사과를 깎아서 가져오더니, 잠깐 사과를 들면서 기다리라는 것이었다.

사과를 다 먹고 나니까, 이번에는 은쟁반에 사과를 가져와서 들라고 하고 또 사라져버리는 것이었다. 바쁜 일이 있나보다 생각하고 사과를 먹어치웠다. 한참을 기다렸더니 이번에는 구리쟁반에 사과를 가져와서 좀 더 기다리라는 말을 남기고 안으로 들어 가버렸다.

“내가 사과를 대접받기 위해서 온 것은 아닌데..”라고 투덜대면서도, 왕의 명령인지라 사과를 먹으면서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연거푸 사과를 세 접시나 먹고 한참 기다리면서 인내의 한계를 느낄 무렵, 드디어 여왕이 웃으면서 자리에 앉는 것이었다.

쟁반의 재질에 따라 사과 맛이 달라질까?

여왕은“어느 쟁반의 사과가 가장 맛있던가요?”라고 물었다. 마음 속으로 여러가지 상상을 하면서 여왕을 기다리다 지친 장군에게 사과는 관심 밖이었다. “어느 것이나 맛이 똑같던데요” 장군은 약간 신경질적으로 이야기했다.

이에 여왕은 “여자도 마찬가지입니다”간단하게 이야기했다. 금 쟁반에 있는 사과나 은 쟁반에 있는 사과나 맛이 똑같은 것처럼, 여자도 왕이든 평범한 여인이든 별 다를 것이 없다는 얘기다. 장군이 금 쟁반에 있는 사과가 가장 맛있더라고 얘기했더라면 역사가 바뀌었을지도 모른다.

와인글라스도 마찬가지다. 값비싼 고급 글라스에 있는 와인이 더 맛있어 지는 것은 아니지만, 비싼 글라스라고 알고 마시면 맛이 더 좋아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와인글라스의 유행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와인글라스는 산업혁명 이후에 저렴한 유리병이 도입되고 투명한 와인글라스도 대중적으로 퍼지기 시작하여 유행한 것이다. 그 이전에는 불투명한 잔에 와인을 마셨기 때문에 와인의 색깔이나 투명도는 별로 문제가 되지도 않았다. 테이블에서 지금같이 와인글라스를 하나의 모양으로 갖추는 풍습은 18세기 들어와서 영국 상류층에서 시작된 것이다.

그전에는 한 자리에서도 서로 다른 모양의 글라스를 사용하기도 했다. 1850년대 만찬도 뷔페식으로 모든 음식을 차려놓고 먹던 방식에서 식탁으로 하나씩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변하면서, 주최 측에서 음식과 와인에 대해 세심하게 준비를 했고 준비한 와인과 음식의 특징을 살리고자 여러 가지 글라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과시욕구도 생기게 된 것이다. 투명한 와인글라스 덕분에 와인도 맑고 깨끗하게 변한 것이다.

와인글라스의 형태와 크기

와인글라스는 무색투명하면서 볼이 넓고 입구가 좁은 튤립 모양 즉, 계란을 위에서 1/3 정도 자른 듯한 모양이면 된다. 또, 보르도, 부르고뉴, 독일, 소테른 등 와인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구태여 이것에 구애 받을 필요는 없다. 그리고 와인글라스에는 어느 정도의 와인이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너무 적으면 한입에 다 마시고 기다리게 되므로 분위기가 어색해지며, 또 따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와인글라스는 미각과 후각을 만족시켜야 하지만, 시각의 만족도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특히, 샴페인은 시각을 만족시키는 글라스라야 하는데, 바닥에 있는 작은 돌출부에서 와인의 거품이 위로 올라오는 재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그래도 금 쟁반의 사과가 더

외국의 비싼 글라스 메이커에서는 와인글라스의 형태에 따라 와인이 혀에 닿는 부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글라스 선택에 주의를 해야 한다고 하지만, 사람의 얼굴과 입 모양이 제각기 다른데 이치에 맞는 주장은 아니다. 그러나 고급와인을 고급 글라스에 따라서 마시면 더욱 맛이 좋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기분에 따라서 와인 맛이 변한다는 점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김준철 김준철와인스쿨 원장

고려대 농화학과 졸업
고려대 대학원 식품공학과(농학석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와인양조학과 수료
동아제약 효소과 및 연구소 근무
수석농산 와인메이커
서울와인스쿨 원장
한국와인아카데미 원장
한국와인협회 및 (사)와인생산협회 부회장
2007 제1회 대한민국 주류 품평회 심사위원(국세청장)
2009 주류품질인증제품심사위원(국세청장)
2009 한국 전통주 품평회 심사위원(농촌진흥청 국립과학원장)

식품저널 2012년 10월호 게재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