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살리기’ 코펜하겐 기후회의(제 1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로 연일 메스컴이 떠들썩하다. 지구촌에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 일상생활에서 탄소 배출을 줄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는 녹색성장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녹색 성장에 우리 모두가 참여하는 방안의 하나로 각 가정에서의 ‘즐거운 밥상 차리기’ 캠페인을 주장하고 싶다. 제철에 나는 식품으로 적당량의 음식을 가족의 기호에 맞추어 준비하는 식사야말로 탄소마일리지를 최대화하는 길이며 녹색 식생활 실천의 첫 걸음이 될 것이다.
 
최근 몇 년동안 우리나라는 국민건강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배려로 영양관련 국가적 정책이 각 부처별로 마련되고 그 시행에 관련부서들이 동분서주하고 있다. 그 정책들을 뒷받침하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 <식생활교육지원법>, <건강기능식품 관련 법규>등이 있고 <한식 세계화 사업>,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영양+사업> 등이 전국적 규모로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국민의 식생활 개선과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한편 기존의 <국민건강증진법>과 <학교급식법> 시행으로 만들어진 ‘국민 식생활 지침’, ‘학교 영양교사’의 역할과는 어떻게 차별화되어 진행되는가에 대한 의구심 또한 없지 않다. 이들 특별법의 지원을 받는 정책들이 정부기관 간에 중복되거나 편중되는 사업은 없는지, 이들 사업의 실효성과 영속성이 객관적 관점에서 조정되고 있는지, 전문가들의 역량은 낭비됨이 없이 발휘되는가에 대해서는 확신보다는 의구심이 더 많다. 이들 정책의 계획과 실현에서 영양학적 철학과 개념에 바탕을 두고 국가 예산과 전문 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국가단위의 정부출연 영양연구기관이 절실히 필요하며, 비용편익을 감안한 경제적 측면에서도 현재의 정부 부처간의 개별적이거나 산발적이고 단속적인 정책 추진보다는 나을 것이며 이것이야 말로 녹색 경영이 아닐까 한다.
 
과연 누구에게 밥상 차리기가 즐거울 수 있을까? 가장을 직장에, 아이들은 과외 현장에 빼앗긴 가정에서는 전업 주부라도 가족과 함께 할 밥상을 차릴 기회도 의욕도 상실하게 된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의 지원을 받는 ‘어린이 먹을거리 사업단’의 사업 가운데  ‘안전한 환경 구축’을 위하여 학교 주변의 어린이 먹거리 판매에 대한 규제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또 지자체에서는 ‘굿모닝 아침밥 클럽’의 활성화를 시도하기도 한다. 아침 밥상이 사라져 가는 젊은 세대의 가정에 밥상을 차릴 수 있도록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물고기 잡아 주는 격의 지원이나 규제보다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는 방안으로 바람직 할 것이다.

그러나 21C 생활의 패러다임 전환 없이는 우리 가정에서 사라져 가는 밥상을 찾아오는 일은 지극히 어렵다. 학교 점심 급식의 보편화에 이어 아침밥까지 학교의 급식에 의존하고 저녁식사는 외식에 의존해서야 되겠는가? 이제는 성장 지상주의, 물질 만능의 경쟁적 생활양식에 대한 반성과 참된 삶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며, 이것이야말로 녹색성장을 위한 준비 운동이다. 20세기가 이루어 놓은 거대한 소비 공간에서 발생된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욕망의 거품을 걷어내고 자연과의 조화, 심신의 조화, 가족 간의 소통과 화합을 위한 구심점으로 ‘즐거운 밥상 차리기’를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은 어떨까? 

현시적 성과 못지않게 행복한 일상을 위하여 의식있는 많은 사람들이 ‘즐거운 밥상 차리기’ 국민운동을 벌여 볼 일이다.
 
장순옥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