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영양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부족, 데이터베이스 확보를 위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17일 대한영양사협회·한국영양학회·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공동주최로 ‘효과적인 국가 영양정책 수립을 위한 제1차 전문가 포럼’이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렸다.
 
이날 문현경 단국대학교 교수는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우리나라 주요 영양문제 및 해결과제’ 주제발표를 통해 “국민영양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이 식품 선택을 잘 할 수 있도록 영양에 대한 지식, 기술, 자신의 건강을 책임지는 태도를 갖도록 해야 하고, 건강에 좋은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영양에 좋은 건전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사회가 만들어줘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영양 감시ㆍ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반드시 있어야 하고, 부족한 데이터베이스를 확충하기 위한 연구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는 모든 식품의 성분 △식품소비 패턴 △영양상태의 측정자료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식, 기술, 행동에 관한 측정자료 △영양 위험군이 포함돼야 한다”며 “연구는 식생활, 질병 그리고 식행동의 관계를 반드시 포함하고, 식품영양관련 체계에 관한 모든 요인들이 포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문 교수는 또 “국가 영양정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영양목표를 설정해 정책에 반영되도록 하고, 영양정책이 다분야적으로 접근돼야 하며, 모든 사람이 먹을 권리를 가질 수 있도록 사회 정의의 실현이 돼야 하며, 질 높은 식품공급 환경을 조성, 환경친화적인 식품공급이 되도록 해야 한다 ”고 강조하고, 가장 시급한 과제로 기본적인 영양 연구의 확충과 영양감시관리 체계 확립, 식품산업 및 농업의 방향 검토, 식품안전을 위한 연구·규제, 영양정책을 수행할 조직 확보 등을 꼽았다.
 
정혜경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도 ‘우리나라 영양정책 실태 및 평가’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 정부는 영양행동계획에 대한 여러 사업을 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정책을 조정하고 관리할 조직이 없다”며 “체계를 갖춘 전담 조직과 인력의 구성 및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국가영양정책을 전담할 부서와 데이터베이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김미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국가 영양정책이 수립되고 실행되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 수행할 조직과 재정이 뒷받침 돼야 하나, 현재 우리나라는 전담부서조차 갖추고 있지 못하다”며 “활발한 영양연구를 통한 확고한 근거 마련과 국가영양감시체계의 확립, 영양업무 전담 조직체계 및 법적 근거 마련이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오상우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국가영양정책이 그동안 많은 개선이 있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국내 데이터베이스와 기초 연구자료의 부족으로 외국의 자료나 지침을 그대로 인용해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국민건강을 위한 과감한 정부차원의 투자를 통해 정말 현실성 있는 자료의 구축과 이를 통한 적절한 영양 권장지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