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민간과 기술 협력ㆍ컨설팅팀 구성ㆍ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추진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오른쪽)이 2월 23일 포천 소재 가농바이오을 방문, 스마트축산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농식품부<br>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오른쪽)이 2월 23일 포천 소재 가농바이오을 방문, 스마트축산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정부는 축산 악취, 가축질병 등 축산 현안을 해결하고 노동력 부족 등에 대응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축산 보급률을 2027년 축산 전업농가의 40%(1만3000농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디지털 전환과 기술혁신을 통한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해 기존에 설치된 축사 자동화 장비에 AI를 결합한 2세대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축산 전업농가의 23%(7265농가)에 그치고 있는 스마트축산 활성화를 위한 단기 보완책과 구조적 개선대책을 마련해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먼저, 생산성 향상, 악취 저감, 가축질병 예방 등 축산업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축종별 스마트축산 최적 성과 도출 모델을 올해 20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그간 농가에 개별장비를 보급하는 체계에서 탈피해 솔루션과 연계한 농가 그룹단위 패키지(장비SET+솔루션) 사업 예산을 180억원 편성해 스마트축산 2세대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국내외 전문가와 관련 기업 등이 참여하는 스마트축산 AI 경진대회를 연중 개최해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모델을 발굴, 보급 확산 사업과 연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 신규 도입농의 체험ㆍ교육 등을 위한 실습 교육장을 올 상반기 안에 2개소를 구축하고, 권역별ㆍ분야별 컨설팅ㆍ사후서비스(A/S)팀을 확대, 농가의 불편을 해소한다. 스마트축산 기자재 사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사후관리 이행 보증제도‘를 상반기 안에 도입하며, 축종별 스마트축산 선도농가를 4월 중에 선정해 신규 진입농과 1:1 멘토링을 확대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현장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민간 클라우드에 축산업 데이터 수집ㆍ분석ㆍ유통ㆍ활용을 지원하는 축산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을 올 10월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에 구축한다. 집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농가에는 축종별 사양ㆍ환경관리 솔루션 고도화를 지원하고, 장비 및 컨설팅 업계에도 제공해 스마트축산 2세대를 위한 생태계를 적극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현장 농가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플랫폼 구축을 위해 청년농업인들과 양돈 플랫폼 구축을 위한 시범 프로젝트를 4월부터 진행한다.

중ㆍ장기적으로 스마트축산 현황과 성과에 대한 정기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과 기업의 솔루션 개발ㆍ보완 등에 활용하고,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 개발사업(’21~‘27)을 통해 데이터와 AI가 중심이 되는 2세대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시켜 국내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축산 생태계의 외연을 확대하기 위해 3월 안에 수출지원단을 구성, 스마트장비와 소프트웨어 등 스마트축산 전체를 패키지로 수출 산업화하는 체계를 구축해 나간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스마트축산은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향상, 특히 악취와 가축질병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우리 축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