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서울 aT센터에서 박범수 차관 주재로 17개 외식기업, 3개 외식 관련 단체 대표 및 임원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박범수 차관은 식재료 가격 상승, 인건비 인상 등 경영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가격 인상을 자제해 외식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를 유지하고 있는데 대해 업계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박 차관은 그러나, 최근 △환율ㆍ유가ㆍ공급망 불안 등 대외 여건 변화 △코코아ㆍ커피 등 원재료 가격 상승 △통상임금 개편에 따른 인건비 상승 △배달앱 수수료 부담 증가 등에 따른 일부 외식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전달했다.
이에 대해 업계는 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주요 원자재에 할당관세 적용, 배달앱 수수료 부담 완화 등을 건의했으며, 박 차관은 “애로사항을 검토해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답했다.
박 차관은 또, 외식업체의 경영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는 △주요 수입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확대 적용 △수입부가가치세 면세 연장 등 세제 지원 △외식업체 육성자금 지원 △외국인 근로자 도입조건 완화 △맞춤형 컨설팅 제공 △식재료 공동구매 지원 △공공배달앱 활성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업계도 비용절감 등 자구노력을 통해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하고,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하면서, 수수료가 저렴한 공공배달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농식품부는 지속적이고 긴밀한 소통을 통해 업계의 추가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해소 방안을 강구, 물가 안정과 외식업계 현안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외식업계 현안 해결 간담회 참석 기업 및 단체
△BBQ △BHC △교촌치킨 △SPC삼립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메가커피 △신세계푸드 △맘스터치 △버거킹 △본죽 △피자알볼로 △얌샘 △청년다방 △놀부부대찌개 △동대문엽기떡볶이 △신전떡볶이 △한국외식산업협회 △한국외식업중앙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① 할당관세: 농산물 13개(양배추, 배추, 무 등), 식품 원재료 13개(설탕, 커피생두, 과일주스 등) 적용
② 수입부가가치세 면세: 커피ㆍ코코아 수입 부가가치세 10% 면세(’22.6.28∼‘25.12.31), 영세음식점(연매출 4억원 이하) 의제매입세액 공제율 확대: 8/108→9/109, (‘24.1.1~‘26.12.31), 외식업계의 의제매입세액 공제한도 상향: 40~65%→50~75%(‘22.7.1~’25.12.31)
③ 외식업체 육성 자금(’25: 300억원): 융자 금리 △1.0% 인하(現2.5~3.0→改1.5~2.0, ‘24.7.3~)
④ 음식점업 외국인 근로자(E-9) 도입조건 완화(’24.7.19): (업종) 한식→한식+외국식 (업력) 5~7년 이상→5년 이상 (지역) 100개 지역→전국
⑤ 경영혁신 외식서비스 지원: 메뉴 개발, 배달서비스, 위생관리, 손익 관리, 식재료 관리, 푸드테크 도입, 마케팅 관리 등에 대한 컨설팅 제공(개소당 최대 300만원)
⑥ 우수식재료 소비 확대 기반 조성: 공동구매에 필요한 인건비, 창고 임차비, 물류비, 운영비 등 개소당 최대 3000만원 지원
⑦ 공공배달앱 인지도 제고 위해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배달앱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포털 구축(~3월말), 홍보, 외식업체 입점 확대 등 지속 추진
관련기사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