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참치, 3D 푸드 프린팅 수산식품 등 고부가가치 식품가공 기술 개발

▲ 정부는 인공 참치, 3D 푸드 프린팅 수산식품 등 고부가가치 식품가공 기술 개발 등을 통해 해양바이오 시장을 2030년까지 1조2000억원 규모로 육성할 계획이다. 사진=식품저널DB

해수부,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 마련

정부가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를 개발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해양바이오 시장을 2019년 6000억원 규모에서 2030년까지 1조2000억원 규모로 육성하기 위해 산업기반 조성과 R&D 혁신 전략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해양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추진할 주요 과제를 담은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을 마련하고, 14일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보고했다.

이번 전략은 △기업이 사업화 과정에서 겪는 소재정보 부족과 대량 확보 곤란, 제품 출시를 위한 인ㆍ허가 어려움 등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단계별로 제품화를 지원하고 △전략적인 R&D 투자를 위해 중점 육성기술 분야를 선정, 우수 기술이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연계를 강화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해양바이오 시장 규모를 1조2000억원 규모로 확대하고, 기술 격차는 2017년 선도국의 78.6% 수준에서 2030년 85% 수준으로 따라잡을 계획이다. 또, 소재 수입 의존도는 2019년 70%에서 2030년 50%로 낮출 계획이다.

<산업기반 조성>
산업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먼저, 해양바이오뱅크(국립해양생물자원관)를 통해 해양생물이 갖는 항암 등 주요 효능 정보를 등급화해 제공하고 무상으로 소재를 분양하는 등 기업의 산업화 소재 발굴을 지원한다. 특히, 업계 수요가 높은 핵심소재는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 검증을 위한 실증시험장(테스트베드)과 해양소재에 특화된 생산시설을 구축해 제품화를 지원한다.

또, R&D 성공 후 임상 통과의 어려움, 제품 생산기반 부족 등으로 사업화에 실패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산업화 단계별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해양소재의 특성을 고려해 인ㆍ허가 기준을 개선하는 등 규제를 정비하고, 인ㆍ허가 절차와 자료 작성법 등을 종합적으로 안내하는 지침을 마련해 배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올해 상반기에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창업기업 등의 기술 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해 사업화를 촉진하는 한편, 우수 해양바이오 제품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국제인증 획득을 위한 컨설팅 및 소요 비용 등을 지원한다. 해양바이오 소재가 건강식품, 화장품 등으로 제품화되는 데 걸림돌이 됐던 해양생물 특유의 점성, 냄새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체내 흡수를 높이기 위한 제형화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해역별 특성에 맞춰 해양바이오 특성화 거점을 조성하고, 지역 중심의 인프라 연계와 성과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해권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2023년에 준공할 예정인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를 중심으로 기업의 사업화 과정 전반을 지원한다. 또, 2025년까지 인천항 배후부지에 해양바이오 특화단지를 지정해 해양바이오 기업에 장기 임대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남해권은 국내 최대 해조류 생산지인 점을 활용해 바이오 소재 생산시설 등을 구축, 소재 공급기지로 개발하고, 동해권은 기존 연구 인프라와 연계해 기초 및 융복합 연구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충청남도는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 내 기업 입주 등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바이오협회와 협력방안을 논의 중이며, 전라남도는 해조류 기반 소재 생산시설 구축과 관련된 실무 자문과 장비 공유 등을 위해 프라임제약 등 바이오기업과 협력할 계획이다.

<R&D 혁신>
수요자의 R&D 참여와 전문가 그룹 간 연계를 강화해 우수한 연구성과가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국바이오협회와 해양바이오학회 등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공동연구 등을 통해 전문가 간 협력을 강화하고, R&D 기획 단계부터 기업 등 수요자의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식품기업과 제약ㆍ바이오기업 간 컨소시엄을 통해 식품원료 분야 연구성과를 활용, 보건ㆍ의료 분야 기술을 개발하는 상생형 R&D 체계를 도입한다.

해양바이오 R&D를 통해 사회적 수요가 높은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기존 화학제품을 대체하는 신소재나 해조류를 활용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어구 등을 개발하고, 유해 플랑크톤을 억제할 수 있는 해양미생물 소재를 연구하는 등 해양환경 개선 소재를 집중 개발한다.

양식생물의 유전체 정보 등을 데이터화해 우수종자를 생산할 수 있는 디지털 육종기술 개발, 인공 참치 등 대체 수산물과 3D 푸드 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형 수산식품 등 부가가치가 높은 식품가공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고령화 시대에 맞춘 웰에이징ㆍ항노화 소재 개발, 해양치유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헬스케어제품 개발 등 새로운 산업소재 발굴을 위한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홍합 단백질의 접착성분을 이용해 흉터 없이 상처를 봉합할 수 있는 생체접착제를 개발하는 등 해양바이오 분야에서도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며,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