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구매 증가 가속화

▲ 농촌진흥청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누적된 전국 1486가구의 가계부를 분석한 결과, 20대의 농식품 구매액은 2010년과 비교해 2019년 68%, 30대는 30% 증가해 젊은 층이 새로운 농식품 구매 주체로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 '10~'19년 전국 1486가구 가계부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농식품 소비 형태가 ‘젊은 소비, 건강 중시, 간편 소비, 먹거리ㆍ구매장소 다양화’로 변화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누적된 전국 1486가구의 가계부를 분석한 결과, 20대의 농식품 구매액은 2010년과 비교해 2019년 68%, 30대는 30% 증가해 젊은 층이 새로운 농식품 구매 주체로 등장했다고 19일 밝혔다.

젊은 소비, 건강 중시, 간편 소비, 먹거리ㆍ구매장소 다양화
축산물과 가공식품 구매 증가세가 두드러졌는데, 2030세대의 축산물 구매비중은 46.3%로, 4050세대 35.7%보다 10%p 이상 컸다. 20대의 가공식품 구매액도 지난 10년간 76% 증가했다.

 

농식품 구매 시 주요 고려사항은 안전한 농식품, 건강 증진, 영양성분 등으로 나타나,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유행을 반영했다. 특히 60대 이상 소비자들이 건강에 높은 관심을 보인 가운데, 이 연령층에서 지난 10년간 블루베리(59%), 견과류(31%), 죽류(31%) 소비가 늘었다.

 

신선편이 식품, 미니 농산물, 시판 김치, 가정간편식 등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농식품 구매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대에 걸쳐 즉석밥, 즉석식품 및 냉동식품 구매가 증가했으며, 2030세대를 중심으로 반찬류 구매액이 37%나 증가했다.

당도 표기 상품, 비선호 부위 등 새로운 구매 품목이 등장하고, 온라인 시장 성장으로 구매장소도 다양해지고 있다.

참외, 수박 등 과채류를 중심으로 당도 표기 상품의 구매가 늘고 있으며, 돼지 앞다리 등 기존 비선호 부위 구매도 증가하고 있다.

 
 

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에 맞춰 전통시장ㆍ대형마트ㆍ슈퍼마켓 이용 구매는 줄고 온라인ㆍ직거래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의 경우 가구당 구매액은 2015년 월 14만6000원에서 2019년 17만5000원으로, 20%가량 증가했다.

소비자가 많이 찾는 가공형태는 과일의 경우 음료, 채소는 반찬류, 곡류는 간식류로 나타났다.

과일은 복숭아ㆍ사과 주스, 채소는 시판 김치, 깻잎 반찬, 녹즙 소비가 증가했다. 곡류는 가공밥, 쌀과자 구매가 증가했다.

농진청은 가공 시장에서 가격 변동에 민감한 채소의 경우 통조림 등 새로운 저장법을 활용한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또, 다양한 가공식품군 개발로 시장 확대에 대응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구매 증가, 국산 농산물 선호도 높아져
코로나19 발생으로 소비자의 농식품 구매 형태에도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동네 슈퍼마켓과 온라인 구매는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 구매는 감소했다.

가정 내 조리 횟수가 늘어나면서 비교적 손쉽게 조리, 취식할 수 있는 농식품과 저장 기간이 긴 상품의 수요가 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국산 농산물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응답이 33.5%로 나타나 국내산 소비 확대 가능성을 확인했다.

 
 

농진청은 오는 26일 오후 2시 ‘2020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를 열고, 이번 조사결과를 발표한다. 발표대회는 농진청 공식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user/rdakorea)을 통해 생중계 되며, 누구나 시청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농진청은 소비자들의 가계부에서 엄선한 22품목(식량작물부터 축산물)의 구매동향을 영상으로 묶은 자료집을 행사 당일 ‘농사로’ 홈페이지(www.nongsaro.go.kr)에 게시할 예정이다.

허태웅 농진청장은 “생산이 소비로 직결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농산물만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시대가 됐다”며, “10년 간의 변화를 통해 살펴 본 농식품 소비 과거와 미래 이야기를 통해 농식품 소비 형태를 두루 살피고, 그 대응방안을 깊이 있게 모색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