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중독 예방을 위해 육류와 어패류를 취급한 칼과 도마는 교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는 이른 무더위로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10년간(‘10~’19) 발생한 식중독은 총 3101건, 환자 수는 6만7270명에 이른다. 식중독은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여름철(6~8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특히 6월은 여름의 시작으로 기온이 높아지고, 장마 전 후덥지근한 날씨 등으로 습도도 높아, 식중독균의 활동이 활발해지지만, 한여름보다는 음식물 관리에 소홀하기 쉬워 식중독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월에는 전체 식중독 발생 건수의 11%(327건), 환자 수의 12%(8,162명)가 발생했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별로는 세균성 식중독 상위 6개(건수 기준)가 전체 건수의 33%(1011건), 환자 수의 60%(40,136명)를 차지했다. 특히 병원성대장균은 가장 많은 식중독을 유발하는 원인균으로, 전체 건수의 12%(381건), 환자 수의 29%(1만9196명)를 발생시켰다.

병원성대장균은 주로 설사와 복통을 일으키는데, 이를 예방하려면 식재료는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씻고, 조리기구는 열탕 소독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 특히 조리도구는 용도별로 구분해 사용한다.

이외에도 여름철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모든 음식은 익혀서 먹고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 마신다. 이때 조리한 식품은 실온에 두지 말고, 한번 조리된 식품은 완전히 재가열해 섭취한다.

날음식과 조리된 식품은 각각 다른 용기에 넣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보관한다. 특히 육류와 어패류를 취급한 칼과 도마는 교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분해 사용한다.

음식을 조리하기 전이나 식사 전, 화장실을 다녀온 후,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손에 상처가 났을 때는 육류나 어패류를 만지지 않는다.

음식을 먹은 후 구역질이나 구토, 복통, 설사,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식중독을 의심해 보고, 병원 진료를 받도록 하며, 의사 처방 없이 함부로 약을 먹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병원 진료 전까지 탈수 등을 막기 위해 수분을 틈틈이 보충해 주는 것이 좋다. 수분 보충은 끓인 물 1ℓ에 설탕 4, 소금 1 숟가락을 타서 마시거나 이온음료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많은 사람들의 음식을 조리하는 곳일수록 개인위생과 철저한 음식물 관리로 식중독을 예방하고, 가정에서도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에 유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