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료 시장은 6조4779억…연평균 성장률은 1.4% 그쳐

▲ 국내 생수 생산액이 2017년 기준 7606억원으로, 최근 5년간(2013~2017) 연평균 10.7%의 증가율을 보였다.

aT. 2019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음료류 편 발간

[식품저널] 국내 음료 시장은 생산액 기준 2014년 6조1306억원에서 2018년 6조4779억원으로 연평균 1.4% 성장하는데 그친데 비해, 생수 시장은 2013년 5057억원에서 2017년 7606억원으로 연평균 10.7%의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이병호)가 발간한 음료류에 대한 2019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음료류 생산액은 2018년 6조4779억원으로 최근 5년간(2014~2018) 연평균 1.4%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생산량은 475만6285톤에서 540만4609톤으로 연평균 3.2% 증가했다.

연도별 음료류 생산실적
                                                                                       (단위: 톤, 백만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음료류

생산량

4,756,285

4,042,801

4,693,142

4,561,841

5,404,609

생산액

6,130,641

5,493,546

6,080,767

5,746,523

6,477,864

* 각 연도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년 생산액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커피(30.1%)이며 탄산음료류(19%), 음료베이스와 혼합음료(이온, 비타민, 에너지음료 등)를 포함하는 기타음료류(16.7%), 다류(13.3%) 순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5년 동안 음료류 생산액 중 커피가 차지한 비중은 30% 내외로, 시장을 대표하는 품목으로 나타났으며, 인삼ㆍ홍삼음료(2.9%→4.2%),와 기타음료류(14.9%→16.7%)가 비중을 늘려가는 가운데, 당분 등에 의한 건강 우려로 과채음료(13.3%→11.0%)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생수 생산액은 2017년 기준 7606억원으로, 최근 5년간(2013~2017) 연평균 10.7%의 증가율을 보였다.

연도별 생수 생산실적
                                                                                       (단위: ㎘, 백만원)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생산

생산량

2,184,964

2,492,709

2,760,635

2,976,141

3,180,735

생산액

505,716

584,499

637,691

727,775

760,609

* 생산량/출하량 : 광업제조업동향조사, 통계청, 2018.11
* 생산액/출하액 : 연도별 광업제조업조사, 통계청 / 경제총조사, 통계청

2018년 기준 생수를 포함한 음료류의 소매점 매출액은 5조4459억원으로, 2016년 5조533억원보다 7.8% 증가했다.

▲ 2018 음료류(생수 포함) 품목별 비중

품목별 비중은 커피음료가 24.2%(1조3191억원)로 가장 높았고 탄산음료(22%), 생수(15.2%), 과채음료(12.2%) 순으로 뒤를 이었다.

2016년과 비교한 성장률은 에너지음료(20.9%), 이온ㆍ비타민음료(13.9%), 생수(13.2%), 커피음료(10.0%) 순으로 높았으며, 과채음료(-7.3%)는 유일하게 판매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음료와 커피음료는 카페인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기반으로 시장이 성장했고, 특히 커피는 소비자 수요에 맞춘 대용량화와 고품질화로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온ㆍ비타민음료와 생수는 건강 중시 트렌드가 성장을 견인하는 가운데, 생수의 경우 1인 가구와 어린이 등 수요에 맞춘 소용량 제품 출시로 시장이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과채음료는 당분 등에 의한 건강 우려로 이온ㆍ비타민 음료 등으로 소비가 대체되며 시장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음료류(생수 포함) 소매시장 규모
                                                 (단위: 백만원,%)

구분

2016

2017

2018

커피음료

1,199,093

1,276,128

1,319,081

(23.7)

(24.3)

(24.2)

탄산음료

1,111,115

1,142,812

1,199,768

(22.0)

(21.7)

(22.0)

과채음료

719,038

699,727

666,759

(14.2)

(13.3)

(12.2)

이온/비타민음료

437,170

473,085

497,965

(8.7)

(9.0)

(9.1)

두유

373,131

379,074

398,282

(7.4)

(7.2)

(7.3)

액상차

314,442

332,347

333,272

(6.2)

(6.3)

(6.1)

에너지음료

169,448

182,022

204,883

(3.4)

(3.5)

(3.8)

생수

729,825

775,436

825,899

(14.4)

(14.7)

(15.2)

합계

5,053,262

5,260,631

5,445,909

판매채널별로는 구매 즉시 음용하는 음료류 특성과 높은 접근성으로 편의점의 매출액 비중이 48.2%로 가장 높고, 점유율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커피ㆍ액상차 등 대부분의 음료는 편의점 중심으로 판매 중이나, 생수는 대량구매 특성상 할인점 비중도 높았다. 생수의 편의점 판매 비중은 27.4%, 할인점은 25.4%를 차지했다.

음료류와 생수 수출액은 2018년 5억8964만 달러로, 2014년보다 21.2% 증가했고, 수입액은 4억128만 달러로 같은 기간 44.5% 증가했다.

음료류(생수 포함) 수출입 규모
                                                                                       (단위 : 천 달러)

구분

수출 규모

수입 규모

음료류

생수

수출액 합계

음료류

생수

수입액 합계

2014

480,996

5,497

486,493

241,511

36,279

277,790

2015

462,873

8,579

471,452

251,352

38,472

289,824

2016

519,758

6,042

525,800

250,015

63,376

313,391

2017

500,279

6,848

507,127

289,193

58,602

347,795

2018

582,625

7,018

589,643

334,754

66,525

401,279

1) 음료류는 HS코드 2009(과일ㆍ채소류 음료), HS코드 2101.12(커피음료), HS코드 2202(탄산음료류 외 기타)의 합계 값임
2) 생수는 HS코드 2201.10(광천수와 탄산수)의 값임
3) 원천 자료의 합계를 천 달러 단위로 반올림하였기 때문에 합계의 일의 자릿수에서 다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음료류 수출액은 2018년 5억8263만 달러로, 2014년 4억8100만 달러보다 21% 증가했으며, 특히 인도네시아ㆍ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를 중심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인도네시아는 2018년 수출액이 2251만 달러로, 2014년의 9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베트남은 5배, 캄보디아는 2배 증가해 각각 3362만 달러, 7048만 달러어치가 수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는 한류로 인해 K-FOOD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식품업체의 할랄 인증 제품으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트남은 익숙한 재료와 단맛 제품의 수출, 캄보디아는 현지화 전략과 마케팅 활동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국가별 음료류 수출현황
                                                                                       (단위: 톤, 천 달러)

국가

수출액

2014

2015

2016

2017

2018

중국

85,311

107,940

124,244

95,428

113,443

미국

69,579

72,128

80,064

79,247

84,489

캄보디아

36,099

46,127

56,503

60,355

70,478

일본

35,194

21,281

26,257

24,285

33,742

러시아

50,215

19,187

20,892

23,237

28,277

베트남

6,547

9,127

15,741

25,192

33,617

인도네시아

2,386

3,034

4,566

6,811

22,511

기타

195,665

184,049

191,491

185,724

196,068

합계

480,996

462,873

519,758

500,279

582,625

*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청

생수 수출액은 2018년 702만 달러로, 2014년보다 27.7% 증가한데 비해 수입액은 6653만 달러로 수출액의 9.5배 수준이며, 증가율도 83.4%로 높게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4~2018) 생수 수입은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이뤄졌으며, 특히 2016년부터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는 국내 업체가 생산하는 생수 중 수원지가 중국인 제품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주요 국가별 생수 수입현황
                                                                                       (단위: 톤, 천 달러)

국가

수입량

수입액

2014

2015

2016

2017

2018

2014

2015

2016

2017

2018

중국

93,614

110,537

213,280

177,962

212,245

23,229

26,342

50,759

42,280

50,084

프랑스

10,492

9,442

8,895

12,214

10,120

8,259

6,484

6,437

9,631

8,534

이탈리아

2,690

3,357

2,536

2,722

3,956

2,373

2,584

2,237

2,456

3,314

피지

568

622

1,200

1,593

1,475

644

784

1,269

1,461

1,462

독일

519

649

969

794

995

495

506

734

614

697

기타

1,699

2,051

2,604

3,169

3,112

1,279

1,772

1,940

2,160

2,434

합계

109,581

126,659

229,484

198,454

231,903

36,279

38,472

63,376

58,602

66,525

*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청 / HS코드 2201.10(광천수와 탄산수)의 값임.

생수는 수입뿐만 아니라 생산ㆍ출하 실적도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국내 시장규모가 급속히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