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 2020년까지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정부가 일회용 종이컵, 음식 포장지 등을 통해 인체에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의 체내 농도를 조사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총 5700명을 대상으로 중금속 등 환경오염물질의 체내 농도를 조사하는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제4기 기초조사’는 제3기에 비해 조사물질을 26종에서 33종으로 확대하고, 임상검사 항목도 16개에서 21개로 늘렸다.

조사물질은 △중금속 3종 △내분비계장애물질(대사체 포함) 17종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4종 △휘발성유기화합물 2종 △농약류 1종 △담배연기 대사체 1종 △과불화화합물 5종 등이며, 임상검사 항목은 △혈액학 9항목 △일반화학 7항목 △혈장단백 1항목 △지질 4항목 등이다.

과불화화합물은 일회용 종이컵, 음식 포장지 등의 코팅, 음식이 눌러 붙지 않는 프라이팬 등을 통해 노출되는 물질로, 동물실험에서 간독성, 암 유발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조사 대상자는 지역, 연령 등을 고려해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영유아 500명, 어린이ㆍ청소년 1500명, 성인 3700명 등 총 5700명으로 선정했다.

환경과학원은 대상자의 혈액과 소변을 채취해 조사물질의 농도를 분석하고, 기초 임상검사를 하는 한편, 생활방식과 오염물질 노출 원인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등을 한다. 이를 위해 설문전문요원, 임상검사 및 유해물질 분석 담당자 등 60여명으로 구성된 조사팀을 상시 운영한다.

기초조사 결과를 통해 오염물질 노출이 우려되는 집단 또는 지역에 대해서는 원인규명을 위한 정밀조사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환경과학원은 그동안 연구결과와 선진국 사례를 검토해 수은, 카드뮴 등 중금속 2종에 대한 생체 내 농도 기준도 마련했다.

성인의 수은 혈중 농도 기준은 15㎍/ℓ이며, 성인의 카드뮴 소변 중 농도 기준은 4㎍/ℓ로 설정하고, 3세부터 18세 이하 어린이ㆍ청소년의 카드뮴 소변 중 농도 기준은 2㎍/ℓ로 설정했다.
 
이번 ‘제4기 기초조사’ 결과는 2021년 12월에 공표될 예정이다.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조사대상물질

그룹

물질명

매질

어린이

청소년

성인

유해금속류(3)

혈액

×

수은

혈액
소변

×/○

○/○

○/○

카드뮴

소변

환경성
담배연기(1)

코티닌

소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대사체(4)

1-하이드록시피렌

소변

2-나프톨

1-하이드록시페난트렌

2-하이드록시플루오렌

환경성
페놀류(9)

비스페놀 A

소변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트리클로산

벤조페논-3

프탈레이트
대사체(8)

모노(2-에틸-5-하이드록시헥실)프탈레이트(MEHHP)

소변

모노(2-에틸-5-옥소헥실)프탈레이트 (MEOHP)

모노(2-에틸-5-카르복시펜틸)프탈레이트( MECPP)

모노부틸프탈레이트 (MnBP)

모노벤질프탈레이트 (MBzP)

모노(3-카르복시프로필)프탈레이트 (MCPP)

모노에틸프탈레이트 (MEP)

모노메틸프탈레이트 (MMP)

피레스로이드
농약류(1)

3-페녹시벤조익산 (3-PBA)

소변

휘발성 유기화합물
대사체(2)

t,t-뮤콘산

소변

S-벤질머캅토산

과불화화합물(5)

과불화옥탄산 (PFOA)

혈액

×

과불화옥탄술폰산 (PFOS)

과불화헥산술폰산 (PFHxS)

과불화데칸산 (PFDeA)

과불화녹살산 (PFNA)

※ 어린이의 경우 혈액 채취 제외로 인해 혈중 납 및 수은, 과불화화합물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음

조사대상 물질별 주요 노출원 및 인체 건강 영향

항목

주요 노출원

인체 건강 영향

유해중금속류

납 제련, 축전지, 조선 및 선박수리, 자동차, 인쇄업

중추신경계와 신장의 손상, 어린이의 학습장애와 ADHD, 지적능력의 저하, 소환, 빈혈, 면역계, 뼈 발달에 영향

수은

아말감 치료, 용광로, 가성소다공정, 수은함유 기기, 형광등, 농약 및 의약품 제조 공장

태아 또는 어린이의 신경발달 장애, 신장 및 중추신경계 손상, 인식·언어장애

카드뮴

구리, 납, 아연 등의 제련공정,안료, 염화비닐 안정제, 고급납땜 등 화합물 공정

호흡기, 눈의 자극, 연기 흡입 시 폐수종, 단백 뇨와 신장 기능 장애, 인체에 암 유발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파이렌, 나프탈렌 등 4종

형광 발광제 및 염료 제조공정, 염색체, 약품, 곰팡이제거제, 살충제, 살균제, 방향제의 중간물질

빈혈, 간, 위내 조직 및 신경손상, 백내장과 망막 손상, 호흡곤란, 호흡부전, 폐부종 유발

환경성
담배연기

니코틴 대사체

직접 또는 간접흡연, 담배 수확 또는 제조공정

각종 암, 폐기종, 급성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유발. 임신 시 흡연은 태아저체중, 영유아의 경우, 영아돌연사증후군, 천식 등 유발

환경성
페놀류

비스페놀류

캔 및 플라스틱의 코팅제, 영수증 등 감열지의 발색 촉매제

생식기계의 발달과 생식능력에 대한 영향이 대표적, 이외 비만, 심혈관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

파라벤류

화장품, 샴푸, 헤어제품, 네일 크림, 치약의 첨가물

피부자극, 발진 등 피부염, 알레르기 반응

트리클로산

비누, 세제, 의류 및 장난감 등의 항균제, 구강청결제, 데오드란트 등 세균제거용 클리너

신장독성, 내분비 장애 및 피부 자극

벤조페논-3

제라늄 향을 내는 향수의 고정제로 사용 비누, 항히스타민제, 수면제, 살충제 제조에 사용됨

인체 발암 추정 물질, 내분비계를 교란하여 알러지성 질환을 악화 시킬수 있음.

프탈레이트
대사체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대사체 등 8종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 자동차 생산품, 음식물 포장재, 의료용품, 건축자재, 장난감 제품

내분비계 장애작용으로 정자수 및 운동성 감소, 생식세포 손상 등 생식독성과 태아 체중 감소, 태아 기형 등의 발생 독성, 호흡기 곤란, 신장 등 간기능 저하 초래. 낮은 농도의 노출로 인한 인체 내 영향은 알려져 있지 않음.

피레스로이드계
농약류대사체

3-페녹시벤조익산
(퍼메트린 등 대사체)

농약용 및 가정용 살충제

피부염, 안구통증, 소화기 자극, 두통, 일시적인 마비, 구토 등 신경독성 장애 유발, 퍼메트린은 내분비계 장애 유발물질로 지정(식약청, ‘09)

휘발성
유기화합물
대사체

t,t-뮤콘산
(벤젠 대사체)

플라스틱, 합성고무, 농약, 세제 등 생활용품 제조공정, 실내 바닥 접착제 및 카펫, 가구용 왁스 등에 함유

빈혈, 백혈병 등 혈액 질환, 경피노출로 인한 피부자극, 증기 흡입노출로 인한 두통, 구토, 호흡곤란, 마비, 의식장애 유발

S-벤질머캅토산
(톨루엔 대사체)

매니큐어, 접착제, 페인트, 담배연기

성장장애, 골격 발달장애, 중추신경장애, 치매, 영구적인 뇌 손상, 청력 및 시력장애

과불화
화합물

과불화옥탄산 (PFOA) 등 5종

일회용 종이컵, 피자 포장지 등 음식포장의 코팅, 음식이 눌러 붙지 않는 프라이팬, 오염방지 카펫, 방염, 방수 코팅물질

동물실험에서는 간독성, 암 유발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며, 인체역학연구에서는 갑상선 질병 발생과의 관련성이 보고된 바 있음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