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한림원 , ‘건강 100세를 위한 맞춤식품의 필요성과 개발 방향’ 토론회 개최

▲ ‘건강 100세를 위한 맞춤식품의 필요성과 개발 방향’ 원탁토론회 주제발표자들과 토론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초고령 사회에 대비해 나이에 상관 없이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지키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원로학자들이 의견을 제시했다.

건강ㆍ장수 식단과 식문화 구축을 위해서는 건강 100세를 위한 맞춤식품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고령인, 특히 초고령인에 합당한 일일영양권장량 등의 기초자료가 우선 확보돼야 하는 등 범정부적 추진체계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최로 12일 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열린 ‘건강 100세를 위한 맞춤식품의 필요성과 개발 방향’ 원탁토론회에서 박상철 전남대 석좌교수는 ‘늙지 않기 아프지 않기 위한 먹거리의 흐름과 나아갈 길’에 대해 발표했다.

박 교수는 다음과 같은 선행적 요건 10가지가 해결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1. 고령인, 특히 초고령인에 합당한 일일영양권장량 등의 기초자료가 우선 확보돼야 한다.
2. 연령별 노화상태에 따른 소화, 흡수, 대사능력의 변화에 대해 명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3. 고령인의 활동성을 증진하고, 인지능을 보존하며, 면역능을 강화할 수 있는 식단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4. 고령인의 생리상태에 합당한 식재료, 조리방법, 식품 보존 및 배식 방안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
5. 특정식품이나 특정성분을 강조해 집중해서는 안되며, 고령인에 적절하게 균형있는 식단을 제공해야 한다.
6. 지역 전통사회에 전래돼온 전통식단을 축으로 발전시켜 식생활 전반을 개선해야 한다. 아울러 식품의 globalization에 대응해 전통식품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7. 지역 조사를 바탕으로 식단과 건강상태 및 수명 연장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갖춰야 신뢰를 가질 수 있다.
8. 식품의 효과는 보편적 기능 개선에 있고, 약품은 선택적 특수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숙지해 식품 효과의 기대치를 합리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9. 초고령인들이 식생활을 향유하도록 제반 프로그램을 운용해야 하며, 온전한 식문화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한다.
10.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역사회 또는 정부기관의 범부처적 추진체계가 이뤄져야 한다.

이미숙 한남대 교수는 ‘노인식 개발 필요성과 제품화 방향’에 대한 발표를 통해 “노인의 부적절한 식생활은 영양상태를 불량하게 만들고, 여러 질병을 악화시켜 개인 삶의 질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사회적 비용도 증가시키게 된다”며, “노인식 개발에 있어서는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특수용도식사 개발도 중요하지만,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가구가 독립적 주체로서 생활할 수 있고, 건강인과 유사한 식사를 함으로써 자존감을 지킬 수 있는 노인식 즉, 가정식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인구의 Healthy aging을 위해서는 기존 노쇠(frailty)한 노인을 위한 노인(환자)식 개발뿐만 아니라 활동적인 노인(질병이 있지만)을 위한 가정식 개발이 시급하다”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관련 법규, 지원센터 등)과 기업의 선도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경철 테라젠이텍스 부사장(가정의학 전문의)은 ‘개인 유전체에 따른 맞춤 영양 개발’에 대한 발표를 통해 “식품산업은 유전체에 따라 사람마다 다른 맞춤형 식단을 구성하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라며, “유전체 기술과 지식의 발전으로 식품, 영양산업도 개인 유전체 맞춤형 제품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또, “음식과 영양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는데, 이를 연구하는 후성유전학(Epigenetics)이 날로 발전하고 있으며, 암과 치매,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바이오 활성화 음식(Bioactive food)에 대한 연구와 산업화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신동화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 요지.

▲ ‘건강 100세를 위한 맞춤식품의 필요성과 개발 방향’ 토론.

빅데이터 창출, 정확한 데이터 제공해야
권대영 한림원 농수산학부 정회원(한국식품연구원)
= 정확하고 살아있는 빅데이터가 창출되고, 동시에 얼마나 정확한 데이터가 제공되느냐가 핵심이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빅데이터 창출에는 관심이 없고, 농식품 연구사업을 통한 개발과 생산에만 관심이 있는데, 이는 미래를 전혀 생각하지 않는 매우 잘못된 정책이다. 오히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오해들이 식품산업의 발전을 막고 있는 부분이 많다. 잘못된 지식이 남용되고 있는 식품분야에서 이러한 오류를 없애거나 줄이는 노이즈 리덕션(Noise Reduction)에 식품전문가와 정부가 힘써야 한다.

QOL(Quality of life)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건강 100세 맞춤형 제품 개발 필요
김연정 대상 식품연구소 차장
= 한국의 고령화 진행 속도를 감안할 때, 우리나라에서도 서둘러 일본 등 선진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고령친화시스템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의료와 식품을 분리해 개별적인 정책과 기준을 마련할 경우 해당 시스템은 고령친화적 기능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통합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 가장 우려되는 것이 의료비 증가이다. 가정에서도 예방 차원에서 영양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며, 정부ㆍ학계ㆍ연구기관의 유기적인 협조로 한국인이 선호하는 식품의 물성기준 마련과 고령자의 자립적 생활정도 및 건강수준을 구분한 맞춤형 제품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향후 지금의 HMR 제품군에 고령자의 QOL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령친화식품군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대비한 제품 개발을 기대한다.

체질별 맞춤식품의 중요성과 연구 방향
이철호 한림원 농수산학부 종신회원(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 국민 대부분이 신봉하고 있는 체질별 음식 섭취에 대해 학계는 분류 방법의 재현성이 낮다는 이유로 외면하고 있다. 최근 마커유전자를 이용해 체질을 분류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한의과 대학생들을 상대로 하여 한의사의 진맥과 문진법(QSCC Ⅱ)에서 동일한 체질로 분류 받은 학생들의 혈액을 채취해 항산화성, 면역반응, ATP 합성, 단백질 분해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Cytochrome p450 2D6, 2C9, IA2, SOD2 유전자들이 사상체질과 연관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특히 SNP distribution parrern이 사상체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물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제 시작에 불과한 것이지만,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사상체질을 유전자 분석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인체기능 약자(노인 및 환자)용 특화식품 필요성과 개발 방향
채수완 전북대 교수
= 65세 이상 한국인의 영양소 부족률은 비타민A 79~83%, 리보플라빈 65~67%, 비타민C 52~55%, 칼슘 77~88%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65세 이상 인구를 위한 복합기능 All In One foods에 이런 필수 영양성분의 추가가 꼭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65세 이상 인구에서 골다공증이 심해지므로 칼슘 섭취와 함께 비타민D의 충분한 섭취와 보충이 요구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