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ㆍ외식 창업희망자 대상 창업공간 제공

HMR R&D 강화ㆍ과학적 효능 검증 식품 신고ㆍ표시제 도입 추진
농식품부, 새해 첫 정부업무보고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를 ‘농업 대변화의 원년’으로 삼고, 농식품 분야에서 총 3만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식품ㆍ외식 창업희망자를 대상으로 창업공간을 제공하고, 1인 가구 증가ㆍ고령화 등 환경 변화에 맞춰 가정간편식(HMR)ㆍ고령친화식품 등 신규시장을 적극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해양수산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와 2018년 첫 정부업무보고를 했다. ‘소득주도 성장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주제로 열린 이날 업무보고에는 이낙연 국무총리와 5개 부처 장ㆍ차관, 당ㆍ청 인사 등 130여 명이 참석했다.

 

농식품부는 업무보고에서 “2018년을 ‘농업 대변화의 원년’으로 삼아 농식품 부문 일자리를 대폭 늘리고, 농업인 소득안전망을 확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올해 농식품 부문에서 총 3만3000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직ㆍ간접 재정 지원과 제도 개선 등 정책수단을 총 동원할 계획이다.

청년농업인 1200명을 선발해 월 100만원의 생활안정자금 지원하고, 자금ㆍ농지ㆍ교육 등을 종합 지원하는 등 청년창업농을 적극 육성한다.

식품ㆍ외식 창업희망자 대상 창업공간 제공, 청년 해외 취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청년 일자리를 확대한다. 조리시설이 갖춰져 있어 메뉴 개발부터 매장 운영까지 가능한 공간 5개소를 무료로 임대해주고,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시설ㆍ장비를 활용해 시제품 제작 기회를 제공한다.

또 창업보육, 맞춤형 기술 개발, 벤처펀드 지원 등으로 창업-성장-재도전 구조의 스마트팜 창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반려동물ㆍ산림ㆍ말산업과 관련한 애견행동 교정, 나무의사 등의 자격증을 신설하고, 펫사료 등 연계산업 육성으로 일자리를 중점 발굴한다.

1인 가구 증가, 고령화 등 시장환경 변화에 맞춰 HMR, 바이오ㆍ고령친화식품 등 신규시장 창출에도 적극 나선다. HMR의 경우 신제품 개발, 품질관리ㆍ고급화 R&D를 강화하고, 식재료 사용과 연계한 원료 구매ㆍ마케팅 자금을 지원한다. 혼밥ㆍ급식시장 성장 빅데이터 분석 등 관련정보 제공도 강화한다. 바이오ㆍ고령친화식품과 관련해서는 과학적으로 효능이 검증된 식품에 대한 신고ㆍ표시제 도입을 추진하고, 식품첨가물ㆍ식품용 효소 등 바이오 식품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며, 발효식품 우량 종균을 개발ㆍ보급한다. 또한, 고령자 맞춤형 식품 제조기술도 개발한다. 푸드테크ㆍ포장재 산업 부문은 식품산업과 ICT 기술을 접목한 푸드테크 스타트업에 자금ㆍ마케팅 등을 지원하고, 기존 식품소재를 대체하는 식품, 예를 들어 식물성 고기 등과 스마트 포장기술 연구ㆍ개발을 추진한다.

골든시드 프로젝트, 기능성 소재 R&D, 곤충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으로 종자ㆍ농생명소재ㆍ곤충 등 신산업 관련 일자리도 만든다.

농업인 소득안전망 확충을 위해서는 채소가격 안정제를 본격 확대하고, 재해복구비 현실화와 재해ㆍ농업인안전 보험료 인하 등을 추진한다.

채소가격 안정제는 주요 채소에 대해 사전 수급조절 의무를 부과하고 평년가격의 80%를 보장해주는 것으로, 지난해에는 무, 배추, 마늘, 양파에 대해 시행했으며, 올해는 고추와 대파에도 적용, 시행할 계획이다.

농지연금 지급액 인상과 함께 82개 전 군 지역 100원 택시 운영, 1만5000가구 영농도우미 지원 등 농촌 맞춤형 복지도 확대한다.

2018년 농림축산식품부 주요 업무계획
1. 농식품산업ㆍ농촌 일자리 창출

<청년 창업 붐 조성>
➀ 청년농업인 정착부터 성장까지 종합 지원
➁ 스마트팜 창업 생태계 구축
➂ 다양한 식품ㆍ외식 취ㆍ창업 지원
- 식품ㆍ외식 창업 공간 제공
- 식품가공산업 활성화
- 해외인턴 파견
<3만불 시대에 걸맞은 일자리 창출>
① 반려동물 관련 산업 육성
② 생활 속 승마문화 확산
③ 1인 가구 증가 등 변화에 맞는 시장 확대
④ 농촌자원 활용 지역경제 활성화
⑤ 산림 활용 특화된 일자리 만들기
<신산업 육성으로 미래 농업 준비>
① 종자ㆍ농생명 소재 등 생명산업 육성
② 곤충산업 발전 기반 마련.
③ 4차 산업혁명 대응 과학영농 기반 확충
- 빅데이터 기술 활용
- 첨단 농기자재 보급 확대
- 스마트 유통시스템 도입

2. 소득안전망 구축
① 직불금 확대 농업인 소득 제고
② 월 100만원 농지연금으로 고령농 생활안정 지원
③ 생산자 조직화로 농산물 가격 안정
④ 농업인의 자연재해 걱정 저감
⑤ 농촌 맞춤형 복지체계 강화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