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저널ㆍ식품안전협회ㆍ식품안전상생협회, 20일 식품산업 글로벌 전략 세미나 성료

▲ 식품저널ㆍ한국식품안전협회ㆍ식품안전상생협회는 20일 aT센터에서 ‘식품산업 글로벌 시장 진출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은 토론 모습.
좌장을 맡은
신동화 전북대 명예교수

식품저널ㆍ한국식품안전협회ㆍ식품안전상생협회 주최로 20일 aT센터에서 열린 ‘식품산업 글로벌 시장 진출전략 세미나’에는 150여 식품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글로벌 식품시장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다음은 신동화 전북대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진행된 토론 요지 및 동영상

 

 

 

 

‘식품산업 글로벌 시장 진출전략 세미나’ 토론 동영상

조경규 농림축산식품부 수출진흥과 사무관 = 농식품부는 미국 식품안전현대화법(FSMAㆍFood Safety Modernization Act)의 이해를 돕기 위해 FSMA 개요, 주요 수출 농식품 품목 특성(신선농산물ㆍ가공식품 구분)을 파악해 생산ㆍ가공ㆍ수출 단계별 대응방안을 다룬 FSMA 매뉴얼을 제작ㆍ배포했으며, 미 FDAㆍUSDA의 FSMA 관련 동향을 모니터링해 KATI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일본ㆍ중국ㆍ미국ㆍEU 등 주요 수출국의 통관ㆍ검역 제도ㆍ통관 거부 사례, 바이어ㆍ수출업체 애로사항 등 무역장벽보고서를 제작ㆍ배포했다. 개별 업체 차원의 애로가 아닌 검역 장벽, 타국 대비 과다한 위생요건 부과 등 비관세장벽 정보는 검역수요ㆍSPSㆍTBT 등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수집ㆍ관리하고 있다.

앞으로 통관ㆍ검역 제도 변경사항 등은 매월 업데이트하고, 비관세장벽 정보는 반기별로 업데이트(2ㆍ7월)하며, 해소된 사항은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다양한 채널로 정보를 전파함으로써 시의성ㆍ접근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정명섭 중앙대 교수 = 수출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식품산업의 미래 메가 트렌드 분석과 환경 변화 예측 등 다양한 연구자료를 토대로 SWOT 분석, 산업 특성ㆍ문제점 도출 등 식품산업을 철저히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함으로써 산업의 비전과 목표, 전략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에 따른 전략 목표를 설정하고, 전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 과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식품산업 인프라 구축’이라는 전략 목표를 위해 식품소재 통합 정보 DB 구축, 국가별 관련 제도ㆍ시장조사, 수출 전문인력 양성 아카데미 운영 등 전략 과제를 도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식품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라는 전략 목표를 위해 수출식품 종합분석센터 설립ㆍ운영, 해외수출지원센터 운영ㆍ지원체계 구축, 신흥 수출 대상국 발굴 사업 등이 전략 과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ㆍ로드맵 작성을 위해 식품산업체 대표기관인 한국식품산업협회, 식품산업 분석ㆍ해외 국가별 수입식품 관련 정책ㆍ제도 조사 전문 연구자, 대학교수 등 산ㆍ학ㆍ연 모두 협력해야 한다.

최성희 식품안전정보원 정보연구본부장 = 최근 3년간 우리나라와 중국ㆍ미국ㆍ일본 간 수입거부 원인 중 금지성분 검출, 기준ㆍ규격 초과가 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글로벌 시장 진출 시 수출국의 기준ㆍ규격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주요 수출국인 중국ㆍ미국ㆍ일본 등 5개국의 2016년~2017년 7월 수출식품 부적합 정보를 분석한 결과, 총 1002건의 부적합 내역이 발표됐고, 세부내용은 국가별로 차이는 있으나 표시위반이 40.4%, 식품첨가물, 미생물 등이 뒤를 이었다.

이런 부적합 요인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국내에서는 식약처, 농식품부 등에서 국가마다 상이한 미생물 등의 기준ㆍ규격, 표시기준 등의 정보를 산업체에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ㆍ운영하고 있으며, 미국ㆍ일본 등에서도 국내와 유사하게 국가의 상무부ㆍ식품안전국 등에서 기준ㆍ규격과 관련된 국내외 뉴스, 규정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해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 기준ㆍ규격과 관련한 제ㆍ개정 동향의 신속한 파악을 위해 조사대상에 대해 원칙을 정해 광범위한 해외 기준ㆍ규격 수집 대상 및 항목 중 우선순위에 대한 선별이 필요하며, 특히 부적합 비중이 높은 표시관련 정보, 식품첨가물 등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정보 제공의 노력이 필요하다.

김민규 CJ제일제당 품질안전센터장 = 사드(THAAD) 갈등이 본격화된 지난 3월 이후 대중(對中) 수출이 둔화되고, 통관 검역 검사 수준이 강화되고 있다. 과거에 비해 검사과정을 철저하게 지키는 사례가 늘어났고, 통관 소요시간도 2~3배 길어지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도 2011년 제정된 식품안전현대화법(FSMA)이 하위 세부규정 제정작업을 마무리하고 올해 본격 시행돼 대미(對美) 수출 시 사전에 준비해야 하는 사항들이 늘어 기업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점점 글로벌로 진출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국가별로 식품 관련 세부기준 등을 질의하고 정확한 답변을 받을 수 있는 국가간 질의 창구(Contact Point) 구축을 정부에 제안한다. 식약처 등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는 법령 조사자료는 있으나, 식품 관련 규정의 내용을 법령 문장만 보고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종종 발생하는데, 어디에 어떻게 질의해야 하는지 몰라 답답할 때가 있다. 이러한 질의 창구를 만들어 준다면, 수출기업들도 적극적으로 활용해 공개 가능한 질의답변은 공유해 제외국 제도의 이해수준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얼마 전 식약처에서 식품산업협회를 통해 인도네시아 당국에서 한국 수입식품에 대해 대대적으로 돼지 유전자 검사를 하고 있다는 정보를 수출기업에게 알려줘 돼지성분 교차오염 가능성 표시를 정부간 협의하고 있다고 공유해 준 긍정적인 사례가 있다. 이처럼 정부간 활동이 증가하기를 기대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