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GMO 사업단 해체 추진에 GMO 연구 활성화 목소리 높아져

▲ 11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바이오 안전성 대중 커뮤니케이션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국회ㆍ과총 바이오 경제 포럼이 열렸다.

농촌진흥청이 지난 1일 반GMO전북도민행동과 ‘GM작물개발사업단 해체’ 협약을 체결한 이후 학계에서 우리나라 농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GMO 연구가 활성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1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바이오 안전성 대중 커뮤니케이션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열린 국회ㆍ과총 바이오 경제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극단적 GMO 반대운동을 경계한다”(유장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진짜 GMO가 식품의 위해요소인가?”(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라며, 반GMO 운동을 비판했다.

이날 최양도 그린바이오포럼 회장은 “GMO는 1996년 미국을 중심으로 재배되기 시작해 지금은 미국ㆍ브라질ㆍ캐나다ㆍ중국 등 26개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일본ㆍ우리나라 등 52개국에서 소비되고 있다”며, “지난 20년 동안 전 세계 45억 명의 인구가 GMO를 먹고, 가축들도 GMO 작물로 사육되고 있지만 GMO가 안전하지 않다는 단서나 증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선진국가들은 식량ㆍ대체 에너지원의 공급을 증대시키고 환경을 보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 농법으로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GMO의 활용이 유력한 방안이라고 인식하고, 벤처기업 육성과 기업의 글로벌화를 집중적으로 유도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GMO 연구개발마저 억제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만 GMO 연구를 중지한다면, 농업분야에서 생명공학 후진국으로 전략하고 외국기업들의 기술과 종자에 의존하는 농업 종속국이 될 뿐 아니라, 국가경쟁력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또, “GMO의 장점을 살리고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민 모두 균형된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는 생명공학기술 이용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에서 과감히 탈피해 이미 개발된 생명공학 신품종의 실용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은 “우리나라도 미래식량을 위한 종자 개발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가 무조건적으로 GMO 연구개발을 반대하기보다 좀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해서 국민의 인식차를 좁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정부는 GMO 관리에 대한 신뢰 구축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부회장은 “농진청의 GM작물 상용화 중단과 GM작물개발사업단 해체 소식은 반GMO 목소리에만 귀 기울인 소통으로 보인다”며, “협약내용을 보면 GMO는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개발연구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메시지여서 미국 의학ㆍ공학 한림원이나 노벨상 수장자들의 GMO 안전성 발표가 무의미해질뿐 아니라, 이를 보는 국민은 혼란스럽다”면서, “한쪽으로 치우친 소통은 잘못을 가져올 수 있고 균형있는 소통만이 국민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광호 한국식품산업협회 부회장은 “노벨상 수상자의 성명서나 정부의 GMO 안전성 관리에도 불구하고 반GMO 단체는 소비자들의 불안을 초래하면서, GMO 표시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GMO 표시를 확대하면 우리나라 식품산업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역차별과 사후관리”라고 지적했다.

이 부회장은 또, “가공식품과 최종제품에 GMO DNA가 남지 않는 식품은 현재로서는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서, “수입식품에 GMO 표시가 없는 경우 이를 위반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국내 식품에 심각한 역차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도선 한국과총 과학외교센터 위원장은 “농진청과 반대단체와 GMO 협약이 법적으로 유효한지 의문이 들고, 생명공학연구에 찬물을 끼얹는 사건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협약과 관련해 과학자들이 모여 대책을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바이오 안전성 대중 커뮤니케이션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열린 국회ㆍ과총 바이오경제포럼에서 연자들과 참석자들이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