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삼 농식품부 수출진흥과장,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방안 토론회’서 밝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농협중앙회는 8월 3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농경연ㆍ농협,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방안 토론회’ 개최

2014년 농림축산식품부는 2017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내세웠으나, 수출액은 지난해 8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올해도 100억 달러 고지는 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다시 2020년 100억 달러 달성을 위해 수출시장 다변화, 농식품 수출 통합조직 운영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아직도 갈 길은 멀다. 더구나 농식품부가 정부주도 농식품 수출사업을 민간주도로 바꿀 방침이라고 밝혀 농식품 수출정책이 일대 전환점을 맞게 됐다. 

8월 3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과 농협중앙회(회장 김병원) 주최로 열린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방안 토론회’에서 이정삼 농림축산식품부 수출진흥과장은 “20년 가까이 정부와 aT 주도로 농식품 수출사업을 추진했는데 한계에 달했다고 판단해 앞으로는 민간이 수출업무를 하고, 정부는 뒤에서 밀어 주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과장은 또, “품목별 제스프리 같은 통합조직을 만들겠다”며, “통합조직이 만들어지면 자동적으로 평가 없이 최우선 선도조직에 준용하는 대우를 받게 된다. R&Dㆍ물류비ㆍ판촉 지원을 통합조직에 일임해 통합조직이 알아서 하게끔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현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출전략처장은 ‘농식품 수출 동향 및 확대 방안’에 대한 발표를 통해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농가소득 연계 강화를 위한 국산 원료 사용 농식품 지원 강화 △고품질ㆍ안전 농산물 안정적 수출기반 조성 및 유망 상품 개발 지원 △수출시장, 판매채널 다양화 △수혜자 중심 사업지원체계 마련 등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 처장은 또, “Post China 시대에 대비해 미개척 시장을 개척하고, 대체 시장을 발굴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민관 합동 시장개척단을 파견하고 수출업체를 육성하는 한편, AFLO(Agrifood Frontier Leader Organizationㆍ농식품 청년 해외 개척단)를 통한 미래 수출전문 인력 양성ㆍ일자리 창출, 新남방정책 추진 등으로 동남아를 제2의 전략시장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처장은 “한국 고유의 수출 유망 품목을 발굴하기 위해 8월말 기준 aT에서 당조고추, 샤이머스킷 포도, 현미발효쌀, 인삼칩 등 16개 품목을 선정ㆍ육성하고 있으며, 수출 상품화와 글로벌 브랜드 지원 등을 통한 전략 상품 육성, 프리미엄 이미지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필 농경연 선임연구위원은 “농식품 수출 증대를 위해 생산-유통-물류-통관-마케팅 등 단계별 장애요인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농식품 수출시장 소비특성 및 시사점’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지속적인 수출 노력 투입 △수출상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수출시장 소비 트렌드 반영 △수출경쟁국 간 공급 틈새시기 발굴ㆍ공급전략 수립 △소비자 과일 선호 요인을 고려한 공급ㆍ홍보 △한국과 관련한 경험 기회 확대와 함께 농식품 홍보 등을 제시했다.

그는 또, 생산ㆍ공급 개선 전략으로 △수출경쟁력ㆍ수출 증대 가능성 높은 품목 발굴과 수출 노력 △엄격한 생산단계 품질 관리와 안정적 물량공급 이행, 상품화 및 유통 개선 전략으로 △신선도를 높일 수 있는 포장기술ㆍ수확 후 관리기술 개발 △수출시장 소비자들의 선호 속성을 반영한 상품화 △수출시장 소비자들의 소비 특성과 구매력에 맞춘 포장ㆍ단위화를 강조했다.

[토론]
배원길 서울대 교수
= 농산물 수출 확대를 위해 경쟁력 있는 품목을 발굴하고, 비관세 장벽 등 수출 걸림돌을 해결해야 한다. 신선농산물이 가공농산물보다 검역, 통관이 까다로우므로 국가별 검역ㆍ통관 등 여건, 환경 등을 면밀히 파악해 선제적인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

신학기 농촌진흥청 수출농업지원과장 =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수출농산물 안전성 강화 △수출경영체 현장 컨설팅 강화 △수출 유망품목 발굴ㆍ지원 △해외시장에서 국내 수출업체 간 과당경쟁 해소 △유망바이어 발굴 등을 해야 한다.

국내 농산물에 대해서도 허용 농약만을 허용기준치 이하로 사용하게 하는 법률(PLS제도)이 제정될 예정으로, 선진국 수준 이상의 안전성 높은 농산물을 국내ㆍ외용 구분 없이 동일하게 생산한다면 국민의 식품안전을 확보하고, 해외시장 이미지 제고를 통한 수출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임정빈 서울대 교수 = 농식품 수출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종자에서부터 생산ㆍ가공ㆍ유통ㆍ수출 등 전 과정에 걸쳐 지속적인 R&D 투자가 필수적이다. 농식품 수출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R&D 지원과 투자를 확대해 중ㆍ장기적으로 수출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에서 탈피해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와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개념으로 전환해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정삼 농림축산식품부 수출진흥과장 = 정부와 aT 주도로 20년 가까이 농식품 수출사업을 추진했는데 한계에 달했다고 판단해 앞으로는 민간이 수출업무를 하고, 정부는 뒤에서 밀어 주는 역할을 하겠다.

품목별 제스프리 같은 통합조직을 만들 것이다. 통합조직이 만들어 지면 자동적으로 평가 없이 최우선 선도조직에 준용하는 대우를 받게 된다. R&Dㆍ물류비ㆍ판촉 지원을 통합조직에 일임해 통합조직이 알아서 하게끔 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6500개 수출농가를 전부 다 묶는 ERP(전사적 지원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어느 밭에서 어떠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는지 GPS, 드론을 띄워 정확히 지도상에 표시하겠다. 예를 들어, 딸기 생산 농가라고 하면 실제 생산 딸기량과 100% 수출하는지, 50%만 수출하는지 등을 빅데이터화해서 정부는 수출을 전담으로 하는 농가에만 지원할 계획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