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화 전북대 명예교수

신동화 전북대 명예교수

세계적으로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는 식량 사정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심포지엄이 농촌진흥청과 식품저널 공동 주최로 지난 14일 aT센터에서 열렸다. 인간이 지구에 출현한 700만년 이래 먹어왔던 농축수산물의 한정된 범위를 넘어 곤충을 식용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현재 지구상에는 80만종 이상의 곤충이 서식하고 있으며 그중 약 2천여 종은 식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며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최근까지 7종의 곤충을 식용으로 허가한 바 있다. 우리는 오래전부터 메뚜기, 번데기를 식용해 왔기 때문에 비교적 곤충의 식용에 긍정적인 감정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어 식용곤충 할용이 기대된다.

향후 인구 증가 속도에 비례하여 식량자원의 증산은 불균형을 이룰 것으로 예측되는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서도 미래 식량난 해결 대안으로 곤충식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식량자원으로 정의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도 식용 곤충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하여 얻어진 결과를 농촌에 보급, 농가 소득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곤충사육은 소나 돼지, 닭 등 가축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이 있다. 첫째 육류 선택의 기준인 단백질 함량은 달걀과 비슷하고 돼지보다 1.5배 높다. 또한 단백질 1㎏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 소비량을 비교하면 소는 15,400ℓ, 돼지 6,000ℓ, 닭 4,300ℓ인 반면 곤충은 3,700ℓ에 불과하여 물 부족이 염려되는 현실에서 큰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동물들이 배출하는 주요 환경 오염원인 온실가스 및 분변 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토지 이용 효율성, 노동력 감소 등 장점과 함께 사료 효율성도 높아 사료 100㎏으로 소의 경우 6.5㎏, 곤충은 54㎏을 사육할 수 있다.(최수근, 곤충식품 심포지엄, 2017.4.14.).

이와 같은 여러 장점을 고려할 때 곤충은 향후 인류의 단백질원, 더 나아가서는 식량자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세계에서 한발 앞서가는 것이 필요하다.

곤충산업은 안전성과 효율성이 높은 대상을 선정하고 실용 가능한 사육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제일 우선이겠으나, 생산물의 판로 확보는 기술 개발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1970년대 당시 농어촌개발공사가 수행하였던 양송이 재배 및 통조림 사업이 좋은 성공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농진청 균이과에서 가능성 있는 양송이 품종을 선발하고 현장 적용 시험을 통한 재배기술을 정립했으며 농가 실증 실험을 통하여 농가 보급 가능성을 확인했다. 그 다음 당시 농어촌개발공사가 세계시장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새롭게 발전된 기술을 확보했으며, 모든 예상되는 사항을 검토한 후 사업을 시행했다. 이 사업을 통해 한 때 우리 양송이 통조림 제품이 세계 시장의 60%를 점하였고, 이 사업에 관여한 재배 농가는 소득이 획기적으로 증대함은 물론, 한국 통조림 가공기술을 세계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식용곤충 사업은 어떤가? 우선 국내 소비 가능성을 치밀하게 검토하고 시장 진입 가능성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큰 세계시장이 있다고 하나 아직 확실하지는 않고 우리만이 갖는 기술력, 생산력 등 경쟁력을 갖춰야 세계 진입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사정으로 보면 가장 보수성이 강한 식품 분야에서 곤충의 수용도는 어느 정도가 될 것인지 치밀한 반응조사가 우선이며, 국제생산가격과도 비교가 되어야 한다. 특히 이웃한 중국의 동향 관찰이 중요한 변수가 된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농가 보급사업은 신중해야 한다. 판로가 확실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증산이 되는 경우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수 있으며, 농가 차원에서 진행한 사업이 예상했던 실적을 내지 못할 경우 신뢰도와 생산에 참여한 농민의 큰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우선은 참여농가 확대보다 본격 사업화 전 단계로 가능한 곤충별로 시범사업을 더 수행하고 생산제품의 용도 발굴 확대, 가격 타당성, 소비자 수용도 제고 등을 폭넓게 연구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 사업은 개인 회사가 참여하는 것이 아니고 국가주도형으로 수천농가가 관여되기 때문에 더욱 신중할 필요가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