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먹거리 정보 서비스 ‘FRESH’로 소비자 신뢰 회복 견인하자

▲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데이터 기반 축산물 안전먹거리 정보 서비스’ 활용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데이터 기반 축산물 안전먹거리 정보 서비스’ 활용을 위한 심포지엄

소비자들의 축산물 소비량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지만, 구제역과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일부 업체의 위생 적발 사건으로 인해 축산물 위생에 대한 불신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HACCP, 친환경축산물 인증 등 여러 제도를 시행 중이나, 이에 관한 정보를 알고 싶어도 관련 기관마다 따로 관리하고 있어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축산물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은 축산물 안전먹거리 데이터 기반 정보 제공 서비스 ‘FRESH(Fresh Report on Safety)’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FRESH는 시중에 유통되는 축산물의 주요 정보를 한 곳에 묶어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여러 기관에 분산돼 있는 축산물 안전먹거리 정보를 누구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다.

김춘진 의원ㆍ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ㆍ소비자단체협의회ㆍ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ㆍ한국정보화진흥원은 ‘데이터 기반 축산물 안전먹거리 정보 서비스 활용을 위한 심포지엄’을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정갑윤 국회부의장, 박윤옥 의원, 김자혜 소비자시민모임 회장,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 박정배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장, 이덕승 소비자단체협의회장 등을 비롯해 400여 명의 소비자단체 회원들이 참석했으며, 축산물 안전먹거리 신뢰도 제고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FRESH 시범사업을 공개했다.

김춘진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축산물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며, “정부 차원에서 빅데이터를 구축해 농장부터 식탁까지 먹거리를 투명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자혜 소비자시민모임 회장은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이 축산물 안전먹거리 정보 서비스를 한 곳에 모아서 정보 접근성을 높인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다. 소비자들이 한 곳에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면 매우 좋은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만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장은 “구제역과 AI 등의 발생, 일부 축산물 가공업체들의 비위생적인 생산과정이 공개되면서 먹거리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는 것이 HACCP과 안전관리통합인증”이라며, “업체와 제품별 HACCP 인증 현황 등 먹거리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고 DB를 구축해서 불량식품을 척결하고 먹거리에 대한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겠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물이다. 여러 곳에 산재된 축산물 정보를 FRESH 사이트에서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은 ‘데이터 기반 축산물 안전먹거리 정보 서비스’ 활용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FRESH 시범 사업을 시연했다.
심포지엄은 ‘ICT 기술 및 데이터에 기초한 축산물 안심먹거리 서비스’를 주제로 열렸으며, 이영환 건국대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김성일 식약처 축산물위생안전과 사무관은 축산물의 HACCP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기존의 HACCP을 발전시키는 목적으로 안전관리통합인증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민들에게는 쉽게 와닿지 않는 것 같다. 또한 HACCP 미인증 업체들에서 발생한 위생문제가 언론에 보도되면서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도 크다”며, “정부는 소비자들의 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만큼 업체들과 소비자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HACCP 홍보와 교육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더 많은 업체들이 HACCP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예산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HACCP 미인증 업체들에게 초기 투자비용 부담을 덜어주고, HACCP 인증 후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있다“며, “특히 HACCP 참여율이 저조한 축산물 판매업체를 대상으로 예산을 투자하고 지원을 확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장재홍 농식품부 서기관은 HACCP 통합 안전먹거리 구축방안에 대한 발표에서 “식약처와 공동으로 축산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소비자와 축산농가, 도축업자 등 여러 사람들이 자유롭게 정보를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다”며, ”이력관리ㆍ농식품안전관리ㆍ국가동물방역관리 시스템과 연계해 제대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추가적으로는 수의사 처방제 시스템까지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 서기관은 “소규모 농장들이 축산물 기록관리를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앱 개발이나 농진청에서 운영하는 한우리를 구체적으로 시스템화 해서 업체와 소비자 모두가 얼마든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은 소비자가 본 축산물 안전에 관해 “시중에 유통되는 도계육의 온도를 조사한 결과, 도계장과 대리점까지는 HACCP이 의무화 돼 있어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었다. 그러나 재래시장이나 판매점 등 소비자와 가까워질수록 온도 관리 기준치 이탈율이 높았다”며, “최종 판매 단계에서는 HACCP 인증을 받는 경우가 적어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 생산과 도축까지만 인증받으면 어떤 의미가 있겠나”고 지적했다. 또한, “소비자들은 농장에서 식탁까지의 정확한 정보를 필요로 하면서도 정보에 대한 불신이 큰 복합적인 상태”라며, “이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소비자가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크로스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
장재홍 농림축산식품부 서기관
= HACCP의 태생은 미국으로, 민간주도적인 제도다. 업체가 자율적으로 운영ㆍ관리하고 정부는 지도ㆍ감독하는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다. 정부가 아무리 관리ㆍ감독을 하더라도 업체가 스스로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HACCP 제도가 제대로 정착되려면 업계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정부는 엄격하게 관리ㆍ감독해 만약 문제가 발생한 업체들은 퇴출까지 불사할 수 있도록 책임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김성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사무관 = HACCP 제도는 잘 유지되고 있다. 정부와 소비자, 업계의 삼각관계에서의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느낀 것은, 소비자와 업계가 소통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식약처 입장에서 보면 제도 자체에 큰 문제는 없다고 본다. 단, 현장에서 업체들의 인식에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 이들의 인식 변화를 위해 식약처는 교육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도ㆍ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 = 정부 차원에서 위생관리 모범업체들을 소비자단체와 연계해서 홍보를 펼쳐도 좋을 텐데, 제도만 만들어두고 관리ㆍ감독만 강제적으로 하다보면 대부분의 영세업자들 입장에선 부담이 상당히 클 것이다. 영세업자들을 상대로 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보다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고 장기적으로 커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정부가 관리ㆍ감독만 하다 보면 서로 마찰을 빚을 수도 있고 이는 결국 모두의 불신으로 이어질 것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