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14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결과

어린이 식생활 안전과 영양 수준이 지난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대도시에서는 서울 송파구, 중소도시의 경우 강원 태백시, 농어촌은 강원 철원군의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4년 전국 228개 지방자치단체의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67.54점으로 '13년(특ㆍ광역시 자치구)에 비해 3.85점 높아졌다고 26일 밝혔다.

식약처는 이는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학교 주변 어린이 식품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되고,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가 확대되는 등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전체적으로 강화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는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노력과 그 수준을 평가하여 수치화한 지표로 △식생활 안전(40점) △식생활 영양(40점) △식생활 인지ㆍ실천(20점) 등 3개 분야 20개 항목(총점 100점)으로 평가된다. 특히, 식생활 인지ㆍ실천 분야는 각 지역별 초등학생(5학년 4만29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이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는 '12년 국가통계 승인을 받았고, '14년 처음으로 전국 조사를 실시했으며, 앞으로 3년 주기로 실시하게 된다.

그동안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는 연도별 대도시('10, '13), 중소도시('11), 농어촌('12)으로 조사ㆍ평가됐다.

조사된 식생활 안전지수를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그룹으로 나누어 보면 대도시는 67.65점, 중소도시는 67.87점, 농어촌이 67.34점으로 중소도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에서는 서울 송파구가 78.95로 가장 높았고, 서울 양천구(57.09점)가 가장 낮았다. 서울 송파구는 전국 단위 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에 가장 노력하는 지방자치단체로 평가됐다.

중소도시의 경우 강원 태백시가 75.77로 가장 높았고, 경기 김포시(57.41점)가 가장 낮았다.

농어촌의 경우 강원 철원군이 77.41로 가장 높았고, 인천 옹진군(55.53점)이 가장 낮게 낮았다.

식생활 안전지수가 우수한 지역은 지난 3년간 학교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았고, 영양 교육 및 홍보 등 어린이 식생활 환경 개선을 위하여 식생활 안전분야와 식생활 영양분야에 노력한 결과 높은 득점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약처는 어린이 급식시설에서 식중독이 발생했거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설치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는 공통적으로 낮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를 보이고 있어, 식중독 예방과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 등 어린이 식생활 안전 확보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결과는 한 눈에 볼 수 있는 지도로 제작되어 배포될 예정이며, 우수 지방자치단체로 선정된 8개 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는 4월 중 포상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우수 지방자치단체로 선정된 8개 지방자치단체는 서울 송파구, 인천 동구, 강원 태백시, 강원 강릉시, 전북 김제시, 강원 철원군, 전남 무안군, 경북 성주군 등이다.

'14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내용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 알림 > 공지ㆍ공고란에 게시되며, 추후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www.kosis.kr)을 통해서도 공개될 예정이다. 
 

▲ 전국 어린이 식생활 안전ㆍ영양 수준 결과 지도

대도시 식생활 안전ㆍ영양수준 평가 결과(특ㆍ광역시 69개 자치구)

기준

해당 지자체

점수분포


(10개)

서울 송파구, 인천 동구, 울산 동구, 광주 광산구, 부산 수영구, 서울 강서구, 부산 중구, 서울 성북구, 서울 금천구, 서울 중구

78.95~72.07


(49개)

서울 성동구, 대전 대덕구, 광주 서구, 광주 북구, 서울 은평구, 부산 동구, 서울 도봉구, 울산 남구, 부산 금정구, 서울 강동구, 부산 서구, 부산 영도구, 광주 남구, 부산 사상구, 대구 남구, 대구 수성구, 대전 동구, 대전 중구, 대구 서구, 대전 유성구, 광주 동구, 서울 구로구, 부산 강서구, 대전 서구, 서울 강북구, 부산 연제구, 울산 북구, 서울 동작구, 서울 마포구, 인천 부평구, 부산 남구, 인천 중구, 인천 연수구, 대구 중구, 서울 강남구, 부산 북구, 인천 계양구, 부산 해운대구, 인천 남구, 서울 용산구, 대구 달서구, 서울 노원구, 대구 북구, 부산 사하구, 인천 서구, 서울 중랑구, 서울 영등포구, 서울 서초구, 서울 서대문구

71.99~63.45


(10개)

대구 동구, 서울 광진구, 부산 동래구, 서울 동대문구, 서울 종로구, 부산 부산진구, 서울 관악구, 울산 중구, 인천 남동구, 서울 양천구

62.12~57.09


중ㆍ소도시 식생활 안전ㆍ영양수준 평가 결과(중ㆍ소도시 77개 자치시)

기준

해당 지자체

점수분포


(12개)

강원 태백시, 강원 강릉시, 전북 김제시, 충북 제천시, 전남 여수시, 충남 공주시, 경기 안성시, 강원 동해시, 전북 군산시, 강원 삼척시, 충북 충주시, 경기 구리시

75.77~71.91


(53개)

경기 하남시, 충남 보령시, 충남 논산시, 전남 목포시, 경기 포천시, 강원 원주시, 충남 당진시, 전남 순천시, 경기 과천시, 전남 나주시, 경북 경산시, 경기 부천시, 경기 오산시, 경기 안양시, 경북 경주시, 충남 천안시, 경북 김천시, 전북 정읍시, 경남 통영시, 경북 안동시, 경기 의왕시, 충남 계룡시, 경북 영주시, 경남 창원시, 경기 양주시, 충북 청주시, 세종특별자치시, 경북 영천시, 경기 의정부시, 제주도, 경기 동두천시, 정북 익산시, 경기 안산시, 경북 문경시, 경기 이천시, 경기 성남시, 경기 광명시, 충남 아산시, 경북 구미시, 경기 시흥시, 전북 남원시, 경기 고양시, 전남 광양시, 경기 군포시, 강원 속초시, 경남 사천시, 경남 양산시, 강원 춘천시, 경북 상주시, 경남 밀양시, 경남 거제시, 충남 서산시, 경기 파주시

71.80~64.11


(12개)

경기 여주시, 경기 광주시, 경기 화성시, 경북 포항시, 경기 남양주시, 경남 김해시, 경남 진주시, 경기 용인시, 경기 평택시, 전북 전주시, 경기 수원시, 경기 김포시

63.55~57.41


농어촌 식생활 안전ㆍ영양수준 평가 결과(군단위 82개 군)

기준

해당 지자체

점수분포


(12개)

강원 철원군, 전남 무안군, 경북 성주군, 전남 담양군, 강원 양구군, 강원 횡성군, 전남 장흥군, 대구 달성군, 충남 금산군, 전남 해남군, 강원 홍천군, 강원 영월군

77.41~72.36


(58개)

전남 장성군, 충북 진천군, 충북 영동군, 전남 보성군, 강원 인제군, 전남 영암군, 충북 옥천군, 전남 진도군, 전북 부안군, 강원 정선군, 경북 청도군, 강원 양양군, 전남 완도군, 전북 진안군, 경북 고령군, 전남 함평군, 전북 순창군, 경남 함안군, 충남 홍성군, 충남 청양군, 경남 합천군, 전북 무주군, 전북 완주군, 전남 고흥군, 강원 평창군, 전북 장수군, 충남 서천군, 충북 단양군, 부산 기장군, 전남 강진군, 강원 화천군, 전남 영광군, 전북 임실군, 전남 신안군, 전북 고창군, 경남 함양군, 강원 고성군, 울산 울주군, 경북 예천군, 전남 화순군, 충북 증평군, 경북 칠곡군, 충북 음성군, 충남 태안군,전남 구례군, 충북 괴산군, 경남 창녕군, 경북 청송군, 충북 보은군, 경남 의령군, 경남 고성군, 전남 곡성군, 경북 군위군, 경남 거창군, 경남 남해군, 경남 하동군, 경남 산청군, 경북 울진군

72.16~62.78


(12개)

충남 부여군, 경기 가평군, 경북 의성군, 경북 영양군, 경북 영덕군, 경기 연천군, 경북 울릉군, 인천 강화군, 충남 예산군, 경북 봉화군, 경기 양평군, 인천 옹진군

62.13~55.53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