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13년 국내ㆍ외 식품안전정보 수집ㆍ분석 결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해 수집한 식품안전정보 가운데 위해식품 관련 정보가 가장 많았으며, 이중 가공식품과 관련된 정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50개국 272개 기관을 통해 총 2만4,178건의 식품안전정보를 수집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전년 2만495건과 비교해 18% 증가한 것이다.

▲ 연도별 정보수집 건수 현황
식약처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유출사고, 중국의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등으로 정보 수집 건수가 전년보다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전체 정보 수집 건수 가운데 국내 정보가 21%(5,079건)를 차지했고, 해외 정보 비중은 79%(1만9,099건)였다.

▲ 지역별 현황
국가별 식품안전정보 수집 건수는 중국 4,121건(17.1%), 일본 3,093건(12.8%), 대만 2,040건(8.4%) 등으로 아시아권 수집 정보가 1만921건,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보다 증가한 것이다.

반면, 미국은 2,817건(11.7%), 유럽은 869건(3.6%)으로 전년보다 감소했다.

식약처는 이는 아시아권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질만한 식품안전사고 발생에 따른 것으로 추정했다.

 
식품안전정보를 정보유형별로 분류하면, 위해식품에 대한 정보가 1만5,376건(63.6%)으로 가장 많았고, 법제도 정보 3,681건(15.2%), 사건ㆍ사고 2,958건(12.2%)으로 뒤를 이었다.

▲ 정보 유형별 현황
위해식품 정보는 특정식품의 판매 금지ㆍ회수, 모니터링 강화 등의 조치 정보를 포함하며, 법제도 정보는 국내외 국가기관 발표 법령, 제도, 기준ㆍ규격 등 제ㆍ개정 정보를 포함한다.

위해식품 정보는 가공식품과 관련된 정보가 5,640건(23.3%)로 가장 많았고, 축산물(3,357건)과 농산물(2,901건) 관련 위해정보가 다음으로 많았다.

 
위해식품 정보 1만5,376건 가운데 각국의 공신력 있는 정부기관에서 발표하고, 제품명 및 위해사유가 확실한 7,996건을 분석한 결과, 위해요인으로는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등과 같은 미생물 오염이 1,725건(21.6%)으로 가장 많았으며, 식육 및 식육가공품, 포장육 등에서 주로 발생했다.

▲ 위해식품정보 위해 요인 : 미생물
다음은 피프로닐, 아세타미프리드, 카벤다짐 등과 같은 잔류농약으로 인한 위해식품 발생(1,370건)으로 주로 채소류, 과일류, 향신료 등에서 문제가 나타났다.

▲ 위해식품정보 위해 요인 : 잔류농약
우유, 아황산염, 난류 등을 원료로 사용함에 따른 알레르기 관련 정보는 937건으로 집계됐다.

▲ 위해식품정보 위해 요인 : 알레르기 성분 미표시
국가별로는 중국, 일본 등의 제품은 잔류농약 검출, 미국과 캐나다의 제품은 알레르기 표시기준 위반, 대만산 제품은 식품첨가물 기준을 초과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 국가별 위해정보 주요 원인
지난해 식품안전 주요 사건ㆍ사고는 △일본 방사능 오염수 유출 및 수산물 오염 △대만 전분 및 관련제품 공업용 말레산 사용 △뉴질랜드 폰테라사 유제품 보툴리눔균 오염 의심 △미국 식품에 부분경화유 사용 금지 추진 △유럽 쇠고기제품 중 말고기 혼입 등으로 나타났다.

일본 방사능 오염수 유출 및 수산물 오염 사건은 '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주변 환경에서 방사능 검출 후 우리나라를 비롯해 제외국이 일본산 식품에 대한 수입 규제 조치를 취했다.

뉴질랜드 폰테라사 유제품 보툴리눔균 오염 사건은 폰테라사의 하우타푸 지역 공장에서 '12년 5월에 생산된 농축 유청단백질에서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균 오염이 의심돼 관련 제품을 회수하고 우리나라 등은 국내 수입ㆍ유통 중인 관련 제품 수거ㆍ검사 결과 불검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아일랜드에서 쇠고기 버거 제품 중 미표시('13년 1월)된 말 및 돼지의 DNA가 검출돼 EU 회원국들은 관련조사를 실시하고 후속조치 등을 시행했으며, 이를 계기로 식품망 전반에 대한 관리 강화를 위한 법률체계 검토 등의 후속조치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내외 위해 정보수집에 총력을 기울여 국민에게 안전한 식품을 공급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www.mfds.go.kr), 식품안전정보원 홈페이지(www.foodinfo.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식약처는 관련 내용을 담은 ‘글로벌 식품안전 동향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