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5개년 종합계획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 건강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 제조ㆍ가공ㆍ조리 단계에서 비의도적으로 생겨나는 유해물질의 저감화를 위한 5개년('13~'17) 종합계획을 수립, 본격 추진한다.

식약처는 식품 중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 저감화를 위해 △종합적ㆍ체계적 유해물질 저감화 연구개발 △중소업체 유해물질 저감화 지원 등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종합적ㆍ체계적 유해물질 저감화 연구개발

식약처는 먼저 제조ㆍ가공 식품 위주의 벤조피렌 저감화 연구개발을 외식, 단체급식, 가정 요리 등 조리식품 및 천연물 의약품까지 확대해 연구하기로 했다.

이달 식용유지 중 벤조피렌 저감화 연구개발을 시작으로, 내년부터는 가쓰오부시, 가공식품, 외식업체, 단체급식, 생약 등 총 6개 분야에 대한 저감화 연구를 시행할 계획이다.

연구개발은 벤조피렌에 대한 총 노출량 조사, 식품별 노출 점유율 평가, 저감화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순으로 진행된다.

또한 제조ㆍ가공ㆍ조리 중 자연 발생하는 유해물질 23종을 저감화 대상물질로 선정해 우리 국민의 농축수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총식이조사를 통한 실태조사 및 위해평가 등을 실시한다.

저감화 대상 자연 발생 유해물질 23종은 벤조피렌, 벤젠, 아크릴아마이드, 에틸카바메이트, 바이오제닉아민류, 퓨란, 헤테로사이클릭아민, 다환방향족탄화수소, 2-아미노-3,8-디메칠이미다조(4,5-f)퀴녹살린, 2-아미노-3-메틸이미다조(4,5-f)퀴놀린, 3-메틸클로란스렌, 니트로소디메틸아민, 니트로소디에틸아민, 니트로소피롤리딘, 니트로소피페리딘, 아세트알데히드, 에틸렌옥사이드, 트리할로메탄, 포름알데히드, 3-MCPD, 히스타민, 트랜스지방, 1,3-디클로르프로파놀(DCP) 등이다.

위해성 평가결과 위해성이 높은 저감화 중점 대상물질을 도출해 내고, 저감화 기술 기반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식약처는 유해물질 저감화 연구개발을 위해 지난 5월부터 ‘유해물질 저감화 추진단’을 구성ㆍ운영 중에 있으며, 과제 추진을 위해 '13년에는 28억원, '14년은 38억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다.

중소업체 유해물질 저감화 지원

식약처는 영세한 중소업체의 유해물질 저감화를 위해 대기업ㆍ중소업체 간의 협업체계를 구축ㆍ운영한다.

이달부터 업체, 협회, 학계, 정부가 참여하는 ‘유해물질 저감화 협의회’ 및 아크릴아마이드, 바이오제닉아민류, 에틸카바메이트, 벤조피렌 등 4개 분과를 구성해 영세한 중소업체를 중심으로 저감화 기술을 적용하고, 이행사항을 확인한다.

또한 CODEX 등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의 유해물질 저감화 신기술 내용 등 최신 정보 및 국제 동향을 주기적으로 중소업체 제공한다.

중소업체에서 제조공정 단계별 저감화 이행사항 확인에 필요한 분석을 수시로 지원하고, 식품위생검사기관 중 ‘권역별 저감화 검사기관’을 지정ㆍ운영할 예정이다.

중소업체의 유해물질 저감화를 위한 협업시스템, 분석비용, 기술지원 등에 '13년에는 2.8억원, '14년은 7.2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활용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비의도적 생성 유해물질의 사전 차단으로 국민 불안을 최소화하고 유해물질 저감화 장비 및 시설설계 모델 개발로 중소 영세업체 경영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해물질(23종) 저감화 기반연구 추진('14~'17)

연차

연구내용

과제수

1차년도('13)

곡류, 과채류, 과실류 등 및 그 가공품의 식품조리법에 따른 노출량 조사

6

2차년도('14)

식육, 가금육 등 및 그 가공품의 식품조리법에 따른 노출량 조사

6

3차년도('15)

어류, 패류 등 및 그 가공품의 식품조리법에 따른 노출량 조사

6

4차년도('16)

유해물질 노출량 평가결과를 통해 중점관리대상 품목 도출

1

5차년도('17)

도출된 중점관리대상 품목에 대한 저감화 기술개발

1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