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10대 품목 종자산업 육성방안’발표

정부는 수산종자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20년까지 총 2,444억원을 투입해 우량 육종품종 개발, 신품종 인공종자 생산기술 개발, 종자관측제 도입 및 보급센터 설립 등을 추진키로 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1일 수산종자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10대 품목 종자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7대 추진과제로 △맞춤형 종자생산 시스템 구축 △수산종자 관측제 도입 △우량 수산종자 개발 및 보급 △10대 품목 수출 및 해외양식장 개발 △R&D 투자확대 및 민간 연구지원 △법적ㆍ제도적 기반 구축 △수산종자산업 관리체계 개편 등을 제시했다.

농식품부는 “육종품종 개발 및 새로운 인공종자 생산기술 개발은 초기 투자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국가가 선행적으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산ㆍ관ㆍ학ㆍ연이 참여하고 있는 품목별 클러스터를 통해 실용화 및 산업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세계적으로 수산종자산업이 개발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이번 육성대책이 추진될 경우 국내 종자산업의 세계 경쟁력 강화는 물론, 세계 수산종자시장에서 선점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했다.

맞춤형 인공종자 생산 시스템 구축

수산종자 생산단계부터 양식용과 방류용으로 구분해 어미를 확보하고 용도에 맞는 맞춤형 우량종자를 생산ㆍ공급할 계획이다. 양식용 종자의 경우 속성장ㆍ내병성ㆍ내환경성의 특성을 지닌 육종품종 및 신품종 인공종자를 생산해 공급하고, 방류용은 반드시 자연산에 가까운 체형ㆍ체색ㆍ유전적 다양성을 지닌 종자를 방류해 생태계를 관리할 방침이다.

또한 일정시설을 갖추고 용도에 부합되는 우량어미 또는 수정란을 확보한 업체를 대상으로 양식용 및 방류용 업체로 등록토록 하고, 품목별 종자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품질인증제를 도입ㆍ시행한다.

수산종자 관측제 도입…적정 생산ㆍ수급 안정

종자의 생산 및 수요 동향을 관측해 수협, 생산자단체 등에 정보를 제공하여 자율적 생산 및 출하를 유도할 계획이다. 관측대상 품목은 수요량이 많은 어종을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연차별로 품목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안정적인 수산종자 수급을 위해 민ㆍ관ㆍ학ㆍ연 합동 ‘종자수급안정 협의회’를 구성ㆍ운영할 방침이다.

우량 수산종자 개발ㆍ보급

2020년까지 김ㆍ미역ㆍ다시마, 멍게, 돌돔, 조피볼락, 참돔, 참굴, 자라, 메기 등 10개 품목에 대해 우량 수산종자를 개발할 계획이다.

참다랑어, 능성어, 뱀장어 등 주로 자연에서 포획해 양식하고 있는 품종에 대해서는 인공종자 생산기술을 개발해 공급한다.

올해부터 해조류 품종보호제도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종자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산 신품종 개발을 추진한다.

10대 품목 수출ㆍ해외양식장 개발

10대 전략품목에 대한 인공종자를 우선 개발해 수산물 수출에 기여하고 해외양식장을 개발해 종자를 공급할 예정이다. 새우의 경우 동남아 및 북아프리카에 양식기술 및 시설을 수출해 중국 및 유럽시장을 공략하고, 능성어는 동남아 및 북아프리카에 대규모 양식장을 조성, 국내에서 생산된 종자를 수출할 계획이다.

R&D 투자확대ㆍ민간 연구활동 지원

수산종자산업 R&D 투자 확대로 기초ㆍ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신품종 개발을 촉진할 계획으로, 2020년까지 수산종묘분야 R&D에 총 2,444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핵심 및 기반 기술의 경우 국가, 기타 개량 및 실용화 기술은 민간의 역할을 확대하는 Two Tracks 체계를 구축한다.

새로운 품종의 원천 기술 및 유전 정보 등 기초 연구개발은 초기 투자비용이 많으므로 국가 연구기관에서 담당하고, 신품종ㆍ원천기술을 활용한 기술 개발 촉진 등을 위해 연구클러스터 참여 민간단체가 수행하는 R&D에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국가와 민간의 기술 교류 및 이전을 위한 ‘수산종자 기술 교류 협의체’도 구성ㆍ운영한다.

법적ㆍ제도적 기반 구축

중장기 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고 추진동력 확보를 위해 ‘양식산업법’에 ‘수산종자산업 육성’ 규정을 마련하는 등 법적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수산종자산업 관리체계 개편

권역별 신품종 보급센터를 설치ㆍ운영하고, 품종별 주 생산지 중심으로 보급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