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윤인순 의원ㆍ고려대 건강기능식품연구센터, 정책토론회 개최

국내 기능성식품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기능성식품산업의 실태를 진단하고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장이 열렸다.

남윤인순 의원(민주통합당ㆍ보건복지위)과 고려대 건강기능식품연구센터는 4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기능성식품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서는 고려대 박현진 교수가 ‘건강기능식품법과 산업 진흥’, 전북대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채수완 교수가 ‘기능성식품 인체적용시험의 문제점 및 대책’, 한국암웨이 조양희 박사가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마켓 현황과 시사점’, CJ 김태준 부사장이 ‘기능성식품소재의 일반식품 적용과 문제점’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각계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해 토론을 펼쳤다.

박현진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기능식품법이 제정된 지 10년이 경과했으나 이 법이 국민건강 및 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한 평가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우리나라는 OECD 국가 내에서의 위상을 고려할 때 건강기능식품산업 규모가 5조원 정도 돼야 하나 2010년 기준 매출액이 1.4조원 정도에 머물고 있다”면서 국내 토종 기능성 소재에 대한 정책지원을 촉구했다.

박 교수는 “국내 기능성 소재에 대한 기능성 연구는 일부 진행이 돼 왔지만 이력관리가 미흡해 상품화에 어려움이 많다”면서 “이에 대한 보건복지부와 농림수산식품부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수완 교수는 기능성 소재의 수입원료 의존도가 70% 이상으로 높고, 홍삼 등 베스트셀러 제품 대부분의 해외수출이 부진하며,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개발시 예산 부담, 개별인정 획득 불확실성에 따른 연구ㆍ투자의지 부족과 임상연구에서 적정한 평가지표(바이오마커) 및 통계적 유의성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체적용시험 성공률이 낮다는 점 등을 국내 건강기능식품산업 발전의 장애로 지적했다.

채 교수는 “따라서 분산된 연구비의 집중 및 예산 확대, 인체적용시험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 수입소재의 내국인 대상 임상시험 의무화, 전반적인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양희 박사는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Key트렌드는 개인맞춤형제품ㆍ복합형제품의 다양화, 과학적으로 입증된 여러가지 허브류의 시장출현, 서비스와 솔루션을 함께 수반한 헬스케어산업”이라고 밝히고, “국내제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 이같은 글로벌 트렌드를 수용하고, 건강기능식품이 수출과 관련된 지원을 one-stop으로 해줄 국가중심의 센터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준 부사장은 “현재까지 국내시장은 건강기능식품 위주로 발전해왔으며, 일반식품 자체가 건강기능성을 갖고 있거나 일반식품에 건강기능성 소재를 적용한 일반식품형 건강기능식품의 발전은 매우 부진한 상황”이라면서 “건강기능식품산업의 발전 및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영역의 확장 및 적극적인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김 부사장은 “외국의 경우 일반식품이 갖고 있는 건강기능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다양한 일반식품에 적용해 식품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식품 섭취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은 우리가 눈 여겨 보아야 할 부분”이라면서 “우리도 국내 우수소재에서 건강기능성분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일반식품에 적용하려는 적극적인 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