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ㆍ소도시 어린이의 식생활안전지수가 대도시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어린이 식생활의 안전과 영양수준을 객관적으로 확인ㆍ평가하기 위해 2011년도 인구 50만 미만 123개 중소도시의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를 조사ㆍ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식생활안전지수는 △식생활 안전(40점) △식생활 영양(40점) △식생활 인지ㆍ실천(20점) 등 3개 분야 20개 항목(총점 100점)으로 평가됐다.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는 지방자치단체별 어린이 식생활안전과 영양수준 및 환경개선 정도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등으로 구분해 3년마다 조사ㆍ평가된다.

전국 123개 중소도시의 식생활안전지수는 평균 62.73점으로 2010년 조사한 대도시 식생활안전지수(59.56점)에 비해 3.17점 높았다.

식약청은 “이는 도시규모에 따른 차이보다 식생활 환경개선에 대한 지자체들의 전반적인 관심이 높아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또한 중소도시 식생활안전지수 중 ‘식생활 안전’ 분야는 평균 27.29점인 반면 ‘식생활 영양’은 평균 20.79점으로 조사돼, 식생활 영양 관리보다는 안전 관리 분야에 더욱 많은 관심과 역량을 집중해 식품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3개 중소도시 중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 상위그룹은 18개 중소도시로 평균 70.26점(67.90~74.41)을 기록했다. 상위그룹은 ‘식생활 안전 분야’의 점수가 높은 중소도시가 대체로 차지했다. 특히 식생활 안전 분야의 세부지표 중 ‘급식관리지원센터’가 설치된 8개(서울 성북구ㆍ은평구ㆍ금천구/인천 남구/경기 오산ㆍ하남.제주 제주ㆍ서귀포) 지자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받았다. 지역별로는 서울 11곳, 부산 2곳, 대구ㆍ인천ㆍ대전ㆍ경기ㆍ제주는 각 1곳으로 총 18개 중소도시가 상위그룹으로 분류됐다.

중간그룹은 87개 중소도시로, 이들 중소도시는 평균 62.53점(58.98~67.34점)을 기록했으며, 다른 분야와 달리 ‘식생활 인지ㆍ실천’ 분야의 평균점수가 하위그룹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 ‘식생활 인지ㆍ실천’ 분야는 전국 5학년 학생 1만명을 대상으로 △고열량ㆍ저영양 식품 인지도 △올바른 식품구매 인지 실천수준 △세끼식사 섭취수준 등을 일대일 면접을 통해 조사한 결과이다.

하위그룹은 18개 중소도시로 평균은 56.19점(47.63~58.77점)을 기록했다. 하위그룹은 급식학생 100만명 당 100명 이상 식중독 사고 발생 등 ‘식생활 안전’ 분야가 취약한 중소도시들이 차지했다. 특히 이들 도시는 급식시설 식중독 발생률과 함께 우수판매업소 지정 및 재정 지원율,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 관리율, 식품보호구역 지정 학교수 대비 전담관리원 비율 등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북 4곳, 부산ㆍ대구는 각 3곳, 서울ㆍ경기ㆍ충남은 각 2곳, 인천ㆍ전남은 각 1곳 등 총 18개 중ㆍ소도시가 낮은 점수를 받았다.

식약청은 “해마다 ‘식생활안전지수’를 조사ㆍ평가해 발표함으로써 어린이 식생활 환경개선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지자체 간 우수한 지자체를 벤치마킹 하는 등 미흡한 부분을 강화하도록 하는 맞춤형 식생활 안전관리 업무를 추진해 전반적인 식생활 안전관리 수준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는 ‘농어촌 군단위 지자체’를 대상으로 어린이 식생활안전지수를 조사ㆍ평가하게 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