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 종합계획 추진

비의도적으로 식품에 이행되는 유해오염물질로부터 국민건강을 확보하기 위해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가 인체 노출량 중심으로 체계화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이같은 내용의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 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유해오염물질은 환경 등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식품에 이행되어 존재하거나, 식품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중금속, 곰팡이독소, 다이옥신, 벤조피렌, 3-MCPD 등의 유해물질로, 이번 종합계획은 카드뮴 등 19종 유해오염물질의 식품 오염도 및 섭취량을 전면적으로 평가해 우리 국민 인체 노출량을 인체노출안전기준의 1/2~1/3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식약청은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 종합계획에 따라 우선 유해오염물질 기준을 재설정해 노출량을 관리할 계획이다.

식품 섭취를 통한 유해오염물질의 인체 총 노출량이 섭취한계량(인체노출안전기준)의 10% 이상인 경우 섭취량이 많은 상위 80% 식품에 대해 기준을 설정하고, 내년부터 5년마다 유해오염물질 19종의 식품 섭취량 및 식품별 오염도를 재평가하여 총 노출량을 산출하고 그에 따른 기준을 재설정한다.

또 극단 섭취군 및 민감층에 대한 노출량을 관리할 계획이다. 일부 식품만 편중하여 섭취하는 극단섭취군 및 영ㆍ유아, 임신부 등 민감층을 고려해 기준을 설정하고, 적정 섭취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제조ㆍ가공 중 생성되는 오염물질은 저감화에 의해 노출량을 관리키로 했다. 제조공정상 저감화가 가능한 유해오염물질이 인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정부 주도로, 우려가 적은 경우에는 저감화 지침서 제공 등을 통한 업계 자율관리를 유도하기로 했다.

유해오염물질 노출량 평가의 선진화도 추진한다. 국내 위험성자료 및 노출수준을 반영한 ‘한국형 인체노출안전기준’을 설정하고, 실제 섭취형태의 총식이조사 및 인체 바이오모니터링을 통한 노출평가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가 유해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식약청은 “이번 종합계획 마련을 계기로 그동안 유해오염물질의 검출만으로 야기됐던 소비불안, 기피현상 등 사회적 갈등과 경제적 손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진국형 유해물질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