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 사람들의 영양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국민의 건강을 고려한 많은 제도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식품 생산자들도 국민의 건강에 보다 좋은 새로운 식품을 개발하여 제품화하고 있다. 학교나 직장, 보건소 등에서도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 같은 동향을 보면서 이런 모든 일의 기본이 무엇일가 생각해 보았다.
 
정부의 영양관련 정책은 국민건강영양조사 등을 통하여 국민의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기준하여 필요한 정책을 세우고 시행한다.

그렇다면 정책을 세우기 위해서 국민의 영양섭취 상태를 조사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기본 자료는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국민들의 식품 섭취상태를 조사하고, 섭취한 식품에 어떤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는지 알아야 하므로 식품의 정확한 영양성분 자료가 필수적이다. 이런 자료에 근거를 두고 세우는 정책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영양성분 표시이다. 최근에 논의되었던 고열량 저영양 식품 등은 기본적으로 식품의 영양소 함량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건강한 사람이나 환자를 대상으로 본인의 상태에 맞게 적절히 먹도록 식단을 권유하는 경우에도 식품의 영양소 함량을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에 맞게 권장하게 된다. 학교급식이나 산업체 급식소 등에서 식단을 짤 때에도 식품의 영양소 함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렇게 식품의 영양소 함량은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식생활관련 영양정책을 세울 때나 개개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상담을 받을 때, 학생들이나 직장인을 위한 급식을 할 때도 모두 쓰이게 된다.
 
그렇다면 식품의 영양소 함량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식품을 사용할 때마다 분석하여 사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한 번 분석ㆍ정리하여 자료로 만들어 여러 분야에서 계속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식품 성분자료가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의 영양성분은 계속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동일한 종류의 식품도 새로운 품종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식품의 조리법도 계속 바뀌고 있다. 조리법에 따라 실제 먹는 식품의 영양소 함량은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식품의 영양성분을 실제 우리가 먹는 형태대로 분석해서 자료를 만들기는 어려운 일이다. 식품의 영양소 함량을 일반인이나 과학자나 모든 사람이 원하는 모든 항목을 분석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식품을 분석하는 데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현재 우리나라는 많은 인력과 비용, 시간을 투자하여 식품 성분 자료를 만들고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식품의 영양 성분 자료를 만드는 몇몇 사람들의 피나는 노력으로 어느 정도는 정리되는 정도이다. 현재 자료를 쓰는 사람들이 자료의 문제점이나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의 노고를 이해하는지는 잘 알 수 없다.

우리 국민의 건강을 위해 여러 가지 일들이 수행되어야 하나 그중에 시급한 것은 식품의 영양성분의 보다 더 정확한 자료를 만들어 내는데 좀 더 많은 관심이 모아졌으면 한다.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