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산업 진흥을 위해서는 R&D 투자가 확대돼야 하고, 특히 각 부처별로 이뤄지고 있는 식품산업 분야에 대한 R&D 투자를 농식품부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14일 한국식품과학회 주최로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식품산업 진흥 방안 확보 심포지엄’에서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가공유통본부 한대석 본부장<사진>은 “식품산업은 제조업 분야에서 상위 5위권의 산업적 위상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제조업에 비해 국가의 R&D 투자가 미약한 실정이고, 국가의 R&D사업은 8개 부처에서 제각기 이뤄져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일관적인 R&D 정책이 미흡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한 본부장은 특히 “그동안 식품산업 진흥을 위한 주무 부처였던 보건복지가족부의 경우 식품산업에 대한 R&D 투자가 미미한 수준이었으며 식품산업의 특성상 식품 원료를 공급하는 농업과의 연계성 강화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 R&D 정책을 추진해 왔다”고 지적했다.

한 본부장은 따라서 “한정된 R&D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R&D 투자를 한 부처로 모아야 하며, 식품산업진흥법을 제정해 식품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 농식품부가 중심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 본부장은 아울러 “농업분야의 생산, 식품산업 분야의 가공 및 제품 생산간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및 산지가공업체에 대한 R&D 지원이 정책적으로 요구되며 이는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도 매우 긴요한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중앙대 이정희 교수 역시 식품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R&D 투자를 확대해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여지껏 식품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정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고 평가한 뒤 “이제 웰빙과 식품안전에 대한 수요 증대로 건강기능 및 안전식품에 대한 투자 증대가 필요하고, 특히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모두 R&D 투자 확대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팀 이상만 팀장<사진>은 R&D 중심의 국가식품클러스터를 통해 식품산업을 진흥시키고 국가클러스터를 동북아 허브로 육성해 나가겠다는 농식품부의 비전을 밝혔다.

이 팀장은 “시장 개방 확대로 인해 우리 농업이 10년 이상 성장통을 겪고 있어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고 농업의 현상황을 진단한 뒤 “농식품부는 농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육성하고, 국가클러스터를 향후 10년 후 14억5,000만명의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동북아시아 농식품 시장의 허브로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팀장은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한 기본 방향은 이달말 용역 결과가 나오는대로 확정 짓겠지만, 네덜란드 푸드밸리와 같은 R&D 중심의 식품클러스터, 국내외 기업 및 연구소 등 식품관련 주체들의 집적화를 통한 식품전문단지, 동북아 식품시장을 겨냥한 수출 지향형 식품클러스터로 육성해 나간다는 것이 기본 구상”이라고 소개했다.

이 팀장은 아울러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시장 개발로 위기를 맞고 있는 우리 농업 발전의 새로운 돌파구로, 양적 성장에 비해 취약한 산업구조를 가진 식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하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