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은 보다 효율적인 유해물질관리를 위해 국민의 참여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현안으로 대두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식품안전종합정보기관인 식품안전정보센타(가칭)를 설치, 운영한다.

또 2010년까지 A7 국가 수준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식품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식품안전체계를 확립한다.
 
식약청은 29일 한국여성개발원에서 제 24회 식품안전열린포럼을 열고 ‘유해물질관리 중장기 계획(안)을 공개했다.
 
이날 식약청 위해관리팀 박문선 사무관은 “그동안 식약청의 식품안전관리가 사카자키, 벤조피렌 등 소비자단체 등에서 문제를 제기한 현안 이슈에 치중함으로써 최근 녹차의 농약 사건과 같은 잠재적 식품 안전문제에 대한 관리가 미흡했고, 위해평가 자료관리도 ‘식이노출평가시스템’, ‘KRIS’, ‘위해도 평가자료’ 등으로 분산되어 있어 모니터링사업이 신속하고 과학적으로 이뤄지지 못했다”며 “앞으로는 유해물질에 대한 종합적인 사전 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과학적인 위해평가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대국민 신뢰도 제고를 위해 유관 분야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식약청은 잠재적 유해물질에 대한 사전관리를 위해 장류·김치 등 국민 다소비식품 위주로 식품공전의 20개 식품군 500여개 식품유형에 대해 유입경로별 오염가능 유해물질 목록을 작성, DB를 구축하고,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등 식품별 위해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과학적 위해관리 기반 구축을 위해서는 국민의 식습관에 근거한 식이노출평가 시스템을 확립하고, 유해물질에 대한 위해 평가 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민간 연구기관과의 유기적 협업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위해요인 우선순위 결정시 전문가는 물론 소비자가 참여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위해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서도 경제학자·산업계·소비자단체 등 분야별 전문가  활용을 추진하는 등 위해분석 단계별 국민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유해물질에 대해 국민들의 이해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언론 매체 및 학교 교육, 인터넷 포탈사이트의 블로그·e-포럼·열린카페 등 온라인 모임 활성화와 함께 소비자단체와의 위해정보교류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현안으로 대두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위해정보 입수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식품안전정보센타(가칭)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식품위생법을 개정하여 센타건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생산단계부터 가공·유통·소비단계의 식품이력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유해물질 관련 식품정보를 소비자, 생산자에게 신속하게 전달·제공할 계획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